
-
워마드(WOMAD)2022 페스티벌 개최 안내(’22.07.28.-7.31.)
2022-07-25 -
2022 가을 교토 익스페리먼트(Kyoto Experiment) 프로그램 공개(’22.10.1.~10.23.)
2022-07-25 -
유럽공연예술회의(IETM) 2022 베오그라드 총회 참가 얼리버드 티켓 안내 (`22.9.8.)
2022-07-25 -
에든버러 프린지 75주년 기념 2022년 프로그램 소개(`21.08.05~8.29.)
2022-07-25 -
2022 필라델피아 프린지 페스티벌(Philadelphia Fringe Festival 2022) 8월 8일 티켓 오픈(’22.9.8.~10.2.)
2022-07-25

-
2022 서울아트마켓 에어밋 <넥스트 모빌리티 해외 사례 공유>
2022-08-12 -
2022 서울아트마켓 팸스피칭(PAMS Pitching) 공모 선정결과 안내
2022-07-06 -
2022 저니투코리안뮤직 프로그램 공모 결과안내
2022-06-20 -
2021 KAMS Connection "넥스트 모빌리티" 결과자료집
2022-05-20 -
[발간자료] 2022년 1분기 공연시장 동향 분석
2022-04-22
-
워마드(WOMAD)2022 페스티벌 개최 안내(’22.07.28.-7.31.)
2022-07-25 -
2022 가을 교토 익스페리먼트(Kyoto Experiment) 프로그램 공개(’22.10.1.~10.23.)
2022-07-25 -
유럽공연예술회의(IETM) 2022 베오그라드 총회 참가 얼리버드 티켓 안내 (`22.9.8.)
2022-07-25 -
에든버러 프린지 75주년 기념 2022년 프로그램 소개(`21.08.05~8.29.)
2022-07-25 -
2022 필라델피아 프린지 페스티벌(Philadelphia Fringe Festival 2022) 8월 8일 티켓 오픈(’22.9.8.~10.2.)
2022-07-25

제59회 베니스 비엔날레 그리고 퍼포먼스
지난 4월 말 개막해 11월까지 이어지고 있는 제59회 베니스 비엔날레.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예년보다 1년 미뤄져 3년 만에 개최된 이번 비엔날레는 초현실주의 예술가 레오노라 캐링턴이 만든 그림책 ‘꿈의 우유(The Milk of Dreams)’을 제목이자 주제로 차용했다. 뉴욕에서 활동하는 이탈리아인 큐레이터 체칠리아 알레마니는 팬데믹을 비롯한 전 지구적 재앙 앞에 선 인류를 언급하며, 서구 근대성을 지탱해온 보편적 인간관의 실패와 인간중심주의로부터의 탈피를 제안했다.
아시아토파 “Deep Dive: Tuning in and Turning on online”
모든 것이 급변하는 세상이다. 특히 지난 2년간 지속해오고 있는 코로나19는 이러한 현상을 가속화하며 공연예술의 창작, 유통 그리고 소비에 많은 영향을 주었다. 뿐만 아니라 공연예술의 기본 특성인 ‘대면’이 불가능해지며 국제유통, 이동성, 특히 국제협업에 제약이 생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세계 각국에서는 공연예술계의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하여, 예술가들의 정체성을 고수하기 위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상황을 헤쳐 나가고 있다. 그 중 한 사례로 줌(Zoom)을 통해 진행된 호주의 아시아 토파(Asia TOPA) “Deep Dive : Tuning in and Turning on online” 를 소개하고자 한다.
젠더 정치학에 질문하는 한국 현대무용들
6월 17일(금)부터 25일(토)까지 약 일주일 동안, 런던 더플레이스(The Place)에서 한국 현대무용을 대표하는 여성 안무가 4인의 작품이 올려졌다. 2022 코리안댄스페스티벌(A Festival of Korean Dance 2022)라는 이름의 이 프로그램은 주영한국문화원(원장 이정우)이 영국의 현대무용기관 더플레이스, (재)예술경영지원센터와 함께 한국의 현대무용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으로, 2018년 시작된 이래 매년 꾸준히 이어져오고 있다. 올해 코리안댄스페스티벌에서 소개된 공연으로는 아트프로젝트보라 김보라의〈무악舞樂〉, 황수현의〈검정감각〉, 이윤정의〈설근체조〉, 콜렉티브에이 차진엽의〈미인 : MIIN - 바디 투 바디〉등이 더플레이스 무대 위에 올려졌다.
아르코 국제심포지엄 리포트
펜데믹으로 연결과 이동성의 위기에 직면하고 있던 2021년 진행되었던 ‘다시, 연결하기(Re:Connection)’에 이어 올해는 ‘다시, 생각하고, 상상하고, 행동하기(Re Think, Imagine and Act)’ 제목의 아르코 국제심포지엄이 6월 7-8일 양일간 열렸다. 이전과는 다른 방식의 생각과 행동의 필요성을 요구하는 제목은 코로나의 공동경험으로 확산되고 깊어진 인류가 직면한 위기에 대한 예술의 존재 방식과 역할에 대한 고민과 질문을 던져준다.
상영과 축제
모므로살롱에서 열린 ‘벨기에댄스필름페스티벌 2022’ 상영회에 갔다. 필름 페스티벌은 언제나 관심이 간다. 공연예술 쪽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실제로 작업을 할 때는 미디어나 영화에서 보여지는 미장센이나 이미지에 영감을 받고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이런 행사는 즐겁게 참여하려고 한다. 모므로살롱에서는 피핑톰의
[대화] PAMS 협력감독 장수혜 x 임현진
서울아트마켓(PAMS, 이하 팸스) 협력감독(Associate Director) 임현진, 장수혜님과 함께 협력감독의 역할과 현재 준비 중인 팸스내, 외부의 이야길 나누어보았습니다. 서서히 준비한 모습을 공개해나가는 팸스의 지향과 방향성을 확실히 엿볼 수 있는 대화입니다.
[인터뷰] 왕총 연출가
제5회 중국희곡 낭독공연의 심포지엄을 통해 한국 관객과 비대면으로 만난 왕총 연출가와 팬데믹 이후 중국 공연예술계와 공연예술가와 관련한 대화를 나누었다. 중국 본토보다는 해외에서 주로 활약하는 왕총 연출가는 중국 공연예술 창작 환경의 현주소, 젊은 세대의 공연예술계 진출 방식, 왕총 연출가의 해외에서의 활동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국가의 지원과 검열의 문제 등 예민한 주제에 대한 조심스러운 언급과 함께 동시대를 살아가는 중국 현대 연출가의 고민을 엿볼 수 있는 시간이었다.
2022 서울국제공연예술제 기자간담회
2022 서울국제공연예술제(이하 SPAF) 기자간담회가 지난 4월 20일 대학로 예술청에서 열렸다. 연사로 예술경영지원센터 문영호 대표와 최석규 예술감독이 취재진 앞에 섰다. 전례 없이 5년의 임기로 축제의 예술감독을 맡게 된 최석규 감독이 축제의 방향성과 비전을 밝히는 것이 주된 내용이었다. 향후 5년간 추구하게 될 SPAF의 비전은 ’예술의 다양성·포용성’, ’예술과 기후 위기’, ’예술과 도시’, ’예술과 기술’, ’예술의 새로운 이동성(Next Mobility)’으로 다섯 가지의 주제를 탐구해간다. 이를 기반으로 열리는 첫 축제는 다가오는 10월 ‘전환(轉換, Transforming)’을 화두로 삼았다. 최석규 감독은 ‘동시대 관점과 시대적 가치를 담아내는 국제 공연예술 축제’를 목표로 한다고 밝히며, 이를 위해 국내외 공연예술계와 연대할 것을 시사했다.-
05.17 ~ 06.10
2022 서울아트마켓 팸스피칭(PAMS Pitching) 공모 close -
05.11 ~ 05.26
2022 저니투코리안뮤직 프로그램 공모 안내(~05.26 17:00) close -
04.06 ~ 05.10
2022 예술산업 선순환 생태계 조성 - 글로벌 도약 지원 참여기업 공모 안내 clo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