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아프로 포커스

[1/2] 2019 커넥션 에세이 연재 [연극/거리예술]; 아홉수(No.9) 프로젝트, 살롱 거리예술 축제와 파사지 페스티벌 2020-07-30

2019 커넥션 에세이 연재 [연극/거리예술]
- 아홉수(No.9) 프로젝트, 살롱 거리예술 축제와 파사지 페스티벌 -

(재)예술경영지원센터는 2010년부터 커넥션(KAMS Connection) 사업을 실시하여 공연예술분야의 국제교류 및 협력을 진작하고 시장조사에 따른 국제협력이 다각도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공연예술전문가들의 해외시장 리서치 및 네트워킹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는 총 14건이 선정되었으며, ‘한국-노르딕 커넥션’, ‘한국-이탈리아 커넥션’, ‘자율형 리서치‘, ’국제협력우수프로젝트 개발지원사업‘, ’해외세미나 연계리서치 지원사업’이 진행되었습니다. 이 중 ‘국제협력우수프로젝트 개발지원사업’ 참가 선정자인 장병욱 연출가와 이철성 대표의 에세이를 아래와 같이 공유합니다. 코로나19로 잠시 멈춘 공연예술 국제교류가 빠른 시일 내에 다시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원합니다.

[1] 아홉수(No.9)로 형성한 한국-리투아니아 공감대

장병욱 (연출가, 해보카 프로젝트)

작년 한국-리투아니아 커넥션 프로그램을 통해 리투아니아의 두 도시, 빌니우스와 클라이페다를 방문해서 리투아니아 극장 쇼케이스(Lithuanian Theatre Showcase)와 사이레노스 페스티벌(Sirenos Festival)에 선보이는 리투아니아의 여러 작품을 봤고 공연예술계의 많은 사람을 만났다. 2주간의 길지 않은 시간이었지만 리투아니아라는 동유럽 낯선 나라의 사람들이 자신들만의 연극을 만들어가는 것을 보고 적지 않은 자극을 받았다. 그러면서 이들과 가까운 미래에 작업을 함께 해본다면 어떤 주제를 가지고 어떠한 형식으로 작품을 만들어볼지 즐거운 상상을 했는데, 그 기회가 생각보다 빨리 찾아왔다. 아트 프린팅 하우스(Arts Printing House)라는 이름의 문화 공간에서 리투아니아 아티스트들에게 해보카 프로젝트(HaVokA Project)의 작품을 소개할 수 있는 자리가 있었는데 우리가 작품을 통해 이야기하는 것들의 의미, 그리고 그 이야기를 무대화하는 방식을 흥미롭게 본 분들과 더 깊은 이야기를 할 시간이 있었다.


아트 프린팅 하우스(Arts Printing House)에서 빌니우스 극장관계자 및
창작자들과의 오픈 네트워킹 이벤트 / ⓒ장병욱

그 분들은 리투아니아 국립극장(http://www.teatras.lt)의 예술 감독 마르티나스 부드라티스(Martynas Budraitis), 크리스티나 사비키네(Kristina Savickiene)였는데 2020년, 혹은 2021년에 리투아니아 국립극장에 올라갈 다큐멘터리 연극을 함께 작업해 보는 것이 어떻겠냐고 제안을 주었다. 이후 그들의 극장에 가서 여러 공간을 둘러보고 자신들의 국립극장이 현재 이 도시에서 하는 예술적 역할과 방향에 대한 설명을 들었다. 그러고 나서 내가 최근에 관심이 있는 이슈들에 대한 이야기와 그들이 관심이 있는 이슈들에 대해서 긴 시간 동안 편하게 이야기를 나누었다. 그렇게 자연스럽게 리투아니아와 국립극장과의 작업을 설레는 마음으로 시작하게 되었다.

공동 작업 주제 선정

리투아니아 국립극장은 매년 작품의 방향성을 대변하는 주제를 정하고 그 키워드에 부합하는 작품들을 무대에 올려왔다. 2018년의 화두는 “집, 이주, 공동체(Home, Migration, Community)”였는데, 이는 리투아니아의 인구 350만 명 중 최근 몇 년 사이에 50만 명 가까운 인구가 더 좋은 일과 환경을 유럽의 다른 곳으로 떠나면서 리투아니아 사회가 많은 동력을 잃어버리는 위기를 겪고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그리고 올해에는 “자유의 공식(The Freedom Formula)"을 주제로 선정하여서 자유를 얻고 유지하기 위해서 어떠한 것들이 필요한지에 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


리투아니아 국립극장의 올해 키워드인
“자유의 공식(The Freedom Formula)”과 관계된 프로그램 / ⓒ장병욱

이들은 해보카 프로젝트의 작업 중 ”씹을 거리를 가져 오세요“가 한국 사람들의 화라는 감정 안에 숨어있는 욕망을 들여다보는 시선, 그리고 ”어닝쇼크“라는 작품에 대해 예술계에서는 직접적으로는 잘 다루지 않는 돈에 대한 이슈를 카지노, 경매 등의 다양한 방식을 통해 다루는 접근 방식이 흥미로웠다고 말하며 자신들이 지금 다루고 있는 주제 외에도 외부인의 시선에서 리투아니아를 볼 때 다뤄보고 싶은 주제가 있다면 자유롭게 이야기해달라고 했다.

한국에 돌아온 뒤 작품의 주제를 선정하는 데에서는 꽤 오랜 시간이 걸렸다. 선택의 폭이 넓고, 리투아니아라는 나라를 잘 알지 못하는 상황에서 짧은 경험을 가지고 타 국가의 사회와 문화에 관해 이야기할 주제를 결정한다는 것은 상당히 조심스러운 일이었다. 또한, 한국에 돌아온 뒤 인터넷과 연구를 통해 알아가는 그 나라의 사회와 문화는 나와 다른 그냥 먼 나라의 이야기처럼 느껴지기도 했다.

그 이후로 다시 생각을 원점으로 돌려 내가 리투아니아라는 나라에 흥미를 느끼게 됐던 개인적 경험에 좀 더 집중하며 그 사회를 바라보기 시작했다. 그러던 중 리투아니아에서 만났던 연극인 중 한 명이 이런 이야기를 했던 것이 기억이 났다.

“이곳의 연극인들은 러시아에서 공부하고 온 이전 세대의 연출가들 다음으로, 리투아니아의 감성을 가진 새로운 연출가의 등장을 다들 기다리고 있어.”

사회의 변화 속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고 있는 그 친구의 솔직한 표현 속에서 리투아니아에 사회적, 문화적으로 조용하지만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는 느낌을 강하게 받았다. 그러면서 세계의 어느 곳보다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한국 사회에서 내가 느끼는 변화의 무게, 그 변화에 대처하는 나의 마음은 어떠한지에 대해 생각해보게 된 계기가 되었다.

39살을 눈앞에 두고 결혼, 유학 등 인생의 중요한 변곡점을 마주하고 있는, 나 자신은 현재 나의 개인적인 변화, 그리고 나를 둘러싼 사회적, 관계적 변화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에 대한 고민을 시작했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있는 아홉수라는 소재를 가지고 양국의 변화 모습과 그 변화 속에서의 개인의 모습에 관해 이야기해보고자 하는 생각이 커졌고 이 생각을 시작으로 "아홉수(No.9)"라는 작품의 개발을 시작했다.

현지 연구 및 인터뷰 진행

이번 연구에는 해보카 프로젝트의 연출인 나와 프로듀서이자 작가로 참여하는 김재동, 총 두 명이 참여하였는데 연구를 떠나기 전 영상통화를 하며 이번 연구 기간 동안 필요로 하는 것들에 대해 충분히 전달했다. 19세, 29세, 39세, 49세, 59세 등 다양한 연령대의 리투아니아인, 혹은 자신의 인생에서 큰 변화를 경험한 혹은 경험하고 있는 리투아니아 사람들을 인터뷰하기, 그리고 다큐멘터리 댄스 극장이라는 형식을 함께 개발할 수 있는 다양한 안무가 만날 수 있도록 리투아니아 국립극장 측에 사전에 도움을 요청했다. 기획팀장인 크리스티나는 우리가 방문하기로 한 7월은 리투아니아 연극인들을 포함한 많은 사람이 휴가를 떠나는 기간이라 꼭 만나봤으면 하는 사람들도 우리가 방문하는 빌니우스에 없을 수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다행히도 리투아니아 국립극장 홍보담당자를 통해서 적극적으로 페이스북 홍보 및 국립 극단 단원들에게 문자메시지 발송 등 여러 채널을 통해 현재 우리가 개발하고 있는 작품 내용, 그리고 이번 연구의 취지에 관해 설명해줘서 다양한 사람들을 인터뷰할 수 있었다.


리투아니아 국립극장의 페이스북 페이지를 통한
“아홉수(No.9)" 작품설명 및 인터뷰 참여자 모집 공고 / ⓒ장병욱

이번 연구를 진행하면서 우리가 궁금증을 가진 지점이 있었다. “변화의 순간을 맞닥뜨렸을 때 각자가 가지게 되는 긍정적 혹은 부정적 태도는 과거 변화에 대한 각자의 경험과 연관성이 있을까? 만약 있다면 어떤 연관이 있는가?”, 리투아니아 사회에 관해 이야기를 할 때 러시아를 빼놓고 이야기하기는 힘들다. 우리나라는 일본으로부터의 독립이 1945년이었으니 반세기가 훨씬 더 지나 우리 세대에서는 일본으로부터의 지배에 대한 직접적인 경험과 감정을 가지기는 힘든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리투아니아는 1990년 독립을 했고 아직도 사회 전반적으로 소련의 잔재가 많이 남아있고 그것들을 없애려는 움직임들이 많이 있다. 가까운 예로 작년 방문했을 때에 찾아갔던 클라이페다 드라마 극장과 리투아니아 국립극장은 소련 지배시기에 지어졌던 건물인데 모두 그 양식을 허물고 자신들의 건축양식으로 리노베이션 하는 중이었다. “이러한 역사적 경험 속에서 리투아니아 사람들은 어떤 영향을 받으며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있는가? 이러한 면들에 관해 이야기 나누다 보면 리투아니아의 현재 변화 모습에 대한 각자의 생각을 들어볼 수 있지 않을까?”, 그리고 “그것을 통해 한국의 변화 모습 또한 다른 문화권의 사람들을 거울삼아 바라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총 9명의 사람과 인터뷰를 진행했는데 다양한 사람들의 많은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인터뷰를 진행하며 공통으로 이러한 질문을 했다.

Q1. Please introduce yourself briefly.
(자신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주세요.)

Q2. Do you have any recent unlucky experience that you realized that you are passing X9?
(최근에 아홉수를 지나셨다면, 그것과 관련한 재수 없는 경험이 있으신가요?)

Q3. In your X9 age, have you felt any special feeling that you did not realize before?
(과거 아홉수를 지나던 때에, 느꼈던 특별한 감정이나 기억이 있으신가요?)

Q4. For me, X9 is OOO?!
(나에게 아홉수란 OOO이다?!)

Q5. Do you have any surprising event for yourself at the very last night of you X9 years old?
(아홉수를 지나 꽉 찬 서른 혹은 마흔이 되던 때에 깜짝 이벤트 같은 것은 없었나요?)

Q6. After ten years at your (X+1)9 years old, what do you expect that you would be doing ?
(10년 뒤의 당신의 모습이 어떨 것이라고 기대하나요?)

Q7. If possible, do you have any message to deliver to yourself of 10 years ago, (X-1)9?
(10년 전의 나에게 메시지를 전할 수 있다면 무엇을 얘기해주고 싶나요?)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