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아프로 포커스

그리스 전통 의식 (儀式) 에 대한 프롤로그 경기침체 속 그리스 공연 예술 2010-10-19

그리스 전통 의식 (儀式) 에 대한 프롤로그
경기침체 속 그리스 공연 예술

 

글: 바니니 벨라미노(Vanini Belarmino)


“우리는 그리스인이다. 우리의 법, 문학, 종교, 예술, 이 모든 것은 그리스에 뿌리를 두고 있다.”

P.B. Shelly, 헬라스에 대한 서문(Preface to Hellas: 1882),

카트리지 인용, p. 1911)


그리스행을 준비하면서, 나는 폴 카트리지(Paul Cartledge)가 쓴 “그리스 사람들: 자아와 타자의 초상 (The Greeks: A Portrait of Self and Others)”을 집어 들었다. 신화에 등장하는 신들의 땅, 고대 역사와 철학 및 극예술의 기원인 그리스로 향하는 만큼, 마음의 준비가 필요했기 때문이다. 카트리지는 그의 저서를 통해 진실과 허구, 그리스 역사의 상호 작용을 간결하게 지적하며, “ ‘그리스인들의 자의식과 자기 정체성’은 역사와 허구 간, 혹은 심지어 역사와 그 반대 자체로 역사를 담고 있는 신화 간 패러독스의 반복되는 변이들과의 첫 대립을 통해 형성된다2)” 라고 쓰고 있다.


The Ancient Theatre of Epidaurus. Photo Evi Fylaktou


이런 전제를 기억한다면, 그리스에서 유명한 철학자나 희곡 작가들의 이름을 차용한 사람들을 조우하는 일도 그리 놀랍지 않을 것이다. 실제로 그리스에서는 소크라테스,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와 같은 철학자, 에우리피데스(Euripides), 아리스토파네스(Aristophanes), 아이스킬로스(Aeschylus) 등의 극작가들, 심지어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신과 인물들, 예를 들어, 아프로디테(Aphrodite), 아리아드네(Ariadne), 안티고네(Antigone), 데스피나(Despina), 엘렉트라(Electra), 미르토(Myrto), 오르페우스(Orpheus), 안드로니쿠스(Andronicus), 레오니다스(Leonidas)와 같은 이름을 가진 이들을 왕왕 마주치게 된다. 사실과 허구가 던지는 의미가 뒤섞여 다가오면, 우리는 곧잘 혼동에 빠지게 된다. 또, 연극 역사에 대한 특정 지식, 특히 그리스 신화와 접목된 유럽 희곡에 대한 정보를 답사하기 위해 그리스를 방문하는 나 같은 사람에게는, 관련된 정보를 얻고 이해하는 과정에서 카트리지가 말한 “역사 대 신화; 역사 속 신화와 신화 대 역사”라고 구분한 의미를 직접 느끼게 된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이국의 문화 체험에 있어 해당 문화의 사람들과 직접 만나는 것 보다 좋은 방법이 있을까 싶은 생각에, 나는 수없이 많은 사실과 신화에 대한 분석 대신, 헤로데온(Herodeon)3)과 에피다우로스(Epidaurus)4)의 고대 연극, 그리스 국립 극장(the National Greek Theatre)5)에서 키니티라스 스튜디오(Kinitiras Studios)6)나 그리스 댄스 컴퍼니 스튜디오(Griffon Dance Company Studio)7)와 같은 대안 예술 공간에 이르기까지 여러 공간에서 활동하는 주변의 그리스 예술인들을 만나보기로 마음 먹었다. 물론, 파나기리(Panagiri)8)라 불리는 섬에서 열린 공연 예술가들의 모임 또한 내 여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일정이었다.


문화 체험이건, 단순한 쇼핑이나 관광 목적이건, 그리스 여행은 여행 목적에 관계 없이 벅찬 경험을 선사한다. 그리스 공연 예술에 대해 이것 저것 알아보고 체험하는 동안, 그리스의 모든 것들이 나를 포용한다는 느낌을 받았다. 그리스인들의 환대, 자신들의 문화 전통에 대한 그리스인들의 자부심은 말할 나위도 없고, 따뜻한 기후, 역사적인 기념비들, 해변을 비롯한 천혜의 자연 경관, 전통 음식, 일상적으로 흐르는 연극의 경험들이 모두 어우러져, 나는 그리스가 이방인인 나를 자연스레 품어 준다는 느낌을 받았다. 추후 설명하겠지만, 연극을 관람하기 위한 과정 또한 그리스식 라이프 스타일을 세세히 경험하는 과정이었다. 덕분에, 그리스에 머무는 여정 내내 나는 그리스를 충분히 느끼고 그리스식 삶을 체험할 수 있었다.


경제 위기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 그리스에서는 연료 파업이 있었다. 연료 파업이 있던 그 주에 나는 고대 극장을 가기 위해 히치하이킹으로 아테네와 에피다우로스를 왕복해야 했다. 당시에 나는 그리스 국립 극장에서 공연하는 에우리피데스(Euripides)작 오레스테스(Orestes)9)프리미어를 관람할 계획이었다. 그리고, 나는 Yannis Houvardas10)가 감독한 그리스 비극 오레스테스의 공연장까지 가는 동안, 그리스식 라이프스타일의 면면을 체험했다. 공연이 공연 자체 이외에도 그리스의 삶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준 셈이다. 앞서 말했다시피, 내가 히치하이킹을 했다는 점, 국립 극장 예술감독인 Houvardas를 인터뷰한 후 원형 극장에서 그리스 희극, “Lysistrata”를 관람하고 돌아오는 길이었다는 점 때문에, 나는 정말 운 좋게도 다소 화려한 초대를 받은 이들과 한데 어울릴 수 있었다. 덕분에 그리스 연극 예술계의 명사들과 전문가들, 예술가들을 만나 보고, 공연 전후의 모습들을 경험할 수 있었다.


Aristophanes’ Lysistrata, 감독: Yannis Kakleas , 그리스 국립 극장 제작, 사진: Mixalis Kloukinas

에우리피데스’ “오레스테스”, 감독: Yannis Houvardas, 그리스 국립 극장 제작, 사진:  Panos Kokkinias


이와 더불어, 에피다우로스에서 펼쳐진 공연은 또 하나의 얘깃거리다. 기원전 4세기에 야외에 세워진 기념비 위에 앉아 , 수 천 여명의 그리스 관객 한 무리를 바라보는 평화로움을 상상해 보시라. 수 천 년 동안 그리스 비극과 희극의 본 고장이 된 이 고고학적 장소는 여전히 그리스 동시대 문화에서도 그 역할을 하고 있다. 관객으로서, 나는 이곳이 색다르고 강력한 센세이션을 일으키는 살아있는 연극 역사 견학처럼 느껴졌다. 또, 극장의 빼어난 음향 시설 덕분에 배우와 12,000여 관객들이 커뮤니케이션 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것도 근사한 경험이었다.


나는 그리스인들은 그리스 고전 문화예술에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고 확신한다. 자 문화에 대한 자부심 이외에는 연료 파업으로 교통편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그 태곳적 연극을 보러 온 7,000여 관객의 심리를 설명할 도리가 없기 때문이다. 히치하이킹을 해 토목 건축가와 변호사가 직업이라는 커플의 스포츠카 푸조(Peugeout)를 타고 아테네까지 가는 동안, 나는 오레스테스 공연 관람의 연장선에 있는 듯했다. 그 커플은 두 사람 모두 Houvardas의 오레스테스에 대한 해석에 지대한 관심을 보였으며, 텍스트에서 놓치지 말아야 할 뉘앙스를 내게 설명해 주었다. 20대 중반의 여피족인 이들이 에우리피데스에 그토록 심취해 있다는 사실이 놀랍기 그지 없었다. 이 커플의 젊은 남편은 차를 몰며, 이렇게 회상했다. “어렸을 때, 두 형과 제가 고대 극장에 가는 길에 차 뒷좌석에서 치고 받고 쌈박질을 했던 기억이 나네요. 지금은 고대 극장까지 편하게 차를 타고 가지만, 2,000년 전 사람들은 그 길을 걸어다녔다고 아빠가 말씀하시곤 했어요.” 걸어 가던, 차를 타고 가던, 노를 저어 가던, 그리스인들은 예술 감상에 있어서 훌륭하고 든든한 후원자임에 틀림이 없다. 그렇다면, 이제 궁금한 것은 경제 위기 속에서 이들은 어떻게 이런 전통을 지킬 수 있을까 하는 점이다.


현실은 쓰다.


1200만 그리스인 들 중 거의 반이 아테네에 밀집되어 있는 그리스에서는, 해마다 아테네에서만 400여 공연 들이 100여 곳이 넘는 극장에서 제작되고 있다고 있다. 그런 점에서, 그리스 공연 예술은 그야말로 활발히 진척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회계연도 기준 2009년에서 2010년 동안, 그리스 문화 관광부(the Hellenic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11)는 총 250만 유로에 달하는 예산을 민간 공연예술 지원에 할당했다. 이 중, 210만 유로는 각각17,000-112,500 유로씩 67개 극단에게 지원됐고, 468,000만 유로가 23개 무용 제작에 각각 8,000-28,000 유로씩 지원됐다12). 이 수치들은 민간 극단과 무용 작품 활동의 운신의 폭을 가늠해 볼 수 있는 지표가 된다.


또, 이 수치들은 Yota Konstantatou와 Irene Moundraki가 2009-2010 그리스 문화 연례 보고서 (the Greece Annual Report on Culture 2009-2010)13)에 기재한 사설의 내용을 뒷받침한다. “공연 예술의 양적 팽창이 이루어지면서, 연극은 창작자와 관객들을 모두 어리둥절하게 할 정도로 그 활동 범위를 확장해 가고 있다. 이 양적 팽창은 합리적이고 안정적인 문화 정책 수립에 방해되는 금융 위기, 그 심각성과 무관하지 않은 이른바 디플레이션 룰의 잣대로는 과잉 상태에 가까운 때론 과잉의 한계를 넘어서는 수준이다. 그러나, 무용계는 연구 범위를 확대하고 여타 예술 장르와의 융합에 초점을 맞춰 가며 그 행보를 안정화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티스(Attis)14), I Nea Skini/the New Stage15), Fasma, Amhi-theater, Chora Epi Kolono, Apo Mochanis, Theatro Neou Kosmou.16)와 같은 주요 극단들에게는 끊임없이 기회가 열려 있는 것도 사실이다. 한편, 일반적인 무용계는 지속적으로 펀드 조성 현실의 어려움과 씨름하고 있다. 풀 하우스 프로모션(Full House Promotion)17)의 젊은 문화 기업인 Christina Polychronidou는 말한다. “모든 비관적인 예측에도 불구하고, 민간 무용단들은 현대 사회, 사회적 정치적 상황, 개인들간의 관계 등에서 영감을 얻은 작품들을 무대에 올려 관객의 관심을 사로잡아왔습니다.” 그녀는 말을 잇는다. “신인 예술가건 유명 예술가건, 정부의 후원금 정기 지원과 관련해 유사한 상황에 처해 있습니다.” 이런 제약 속에서도, 많은 젊은 안무가들은 자신들의 작품을 끊임없이 혁신하고, 심지어 새로운 공간까지 창출해 나가고 있다. “Ioanna Portolou/Griffon Dance Company, Konstantinos Rigos, Antigone Gyra/Kinistiras Studios, Zoe Dimitriou, and Rootless Root 와 같은 이들이 이러한 확대 노력을 통해 성공을 거둔 좋은 예입니다.” 라고 Polychroniadou18).는 말한다.


Flesh (2008), 안무: Ioanna Portolou/Griffon Dance Company

Arizona (2009) 안무: Ioanna Portolou/Griffon Dance Company


문화관광부의 지원 계획에서 공연 예술 분야가 차지하는 비율은 극히 경미하다. 문화관광부는 지원 범주는 1) 대규모 고대 유물 보수 관련 주요 프로젝트19), 2) 문화 유산20), 3) 문학, 연극, 무용, 음악, 시각 예술, 예술 경영, 디지털 문화 등을 포함한 현대 문화21)로 크게 세 부분으로 나뉜다. 2010년도에는 약 10억 3600만 유로22)의 예산이 모든 예술 활동과 국영 문화 단체 지원을 위해 책정되었다.


북부 그리스 국립 극장(The State Theatre of Northern Greece)23)과 그리스 국립 극장(the National Theatre of Greece)은 국가가 운영하는 두 개의 주요 극장이며, 카발라, 세레스, 볼로스, 크레타 섬, 베로이아, 코르푸, 라리사, 칼라마타, 로멜리, 아그리니온, 코모티니, 이오아니나, 파트라스, 북 에게해.24)등 14개 지방 자치 단체가 운영하는 극장들이 있다. 또, 정부 감독이 이루어지는 예술회관으로는 그리스 국립 오페라(Greek National Opera)25), 아테네 국립 오케스트라(Athens State Orchestra)26), 테살로니키 주립 오케스트라(Thessaloniki State Orchestra)27), 헬레닉(그리스 고전) 음악 국립 오케스트라(State Orchestra of Hellenic Music)28)및 Orchestra of the Colours29), 등이 있으며, 그 밖에도 다수의 무용 학교 및 드라마 학교, 음악 학교 등이 있다.


Common View 이니셔티브


그리스의 권위 있는 극장 감독 중 한 사람인 Houvardas 와의 인터뷰는 소규모 예술 단체들만이 기존의 구조적 딜레마에 빠진 것은 아니라는 점을 시사했다. 영국에서 교육받은 Houvardas 는 말한다, “국립 극장 차원에서는 약 1200만-1300만 유로에 달하는 지원을 받습니다. 한편, 250명의 직원과 100명의 계약직 배우가 있는 6개의 부설 극장 운영비로는 총 800만 유로 밖에 지원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제작비를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습니다. 2009년, 18-19편의 작품이 제작됐고, 2010-2011년에는 11편이 제작됐습니다30)


그는 말을 이어간다. “그러나, 예전이라고 해서 딱히 자금 지원이 훨씬 후했던 것은 아니기 때문에, 사실 상황에 맞게 작업하는 일에 이미 익숙해져 있습니다.” 경기 침체 이후에는 사태가 더 심각해졌다고 말하며 그는 말을 이어간다. “ (경기침체 후) 우리는 예산의 20-25%가량 감축해야 했구요. 그래서 직원 수를 줄였습니다. 6개의 공연을 올리는데 겨우 3명의 직원이 일했습니다. 또, 이 때문에, 기존의 공연 장소가 아닌 리셉션 장소 등을 활용해 줄어든 예산에 맞게 비용을 절감했습니다.”


1930년 교육부의 게오르게 파판드레우(George Papandreou)가 창단한 그리스 국립 극장은 그 후 오랜 세월 동안 공공 장소로 기능했다. 1994년, 국립 극장은 문화 증진 및 그리스 문화 정체성 보존의 임무를 띤 비영리단체로 거듭났다. 2007년 이후, Houvardas 가 국립 극장의 예술 경영 및 행정 관리를 맡아 온 국립 극장의 목표로는 고전 희곡 연구, 그리스와 해외에서 고전 극의 공연 및 확산; 현대 그리스 희곡에 중점을 둔 희곡 공연, 증진, 계발; 고전 작품 공연 및 해석; 새로운 극 형태 및 실험적 형태의 표현 연구 및 발굴;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작품 제작; 드라마 스쿨 창립을 통한 연극 교육; 유럽과 그리스 인구가 많이 분포된 국가들을 중심으로 한 국제 교류 및 협력 증진; 그리스에서 활동하는 연극인들 지원 등이 있다. 이러한 목표를 실행해 가면서, 국립 극장은 또한 여러 장소에서 다양한 연극 공간을 유지하고 운영해 오고 있다.


 “정부가 별도로 공연 규정을 제시하진 않지만, 우리 활동을 면밀히 모니터링 하는 편입니다. 또, 그것 이외에도, 제가 우리 활동을 보고하는 기구도 따로 있습니다. 그러나, 목표를 만들어가는 것은 제 권한입니다.” Houvardas 는 말을 이어간다. “사실 저는 차라리 정부로부터 어떤 압력이 있었으면 하기도 합니다. 그런 압력도 어찌 보면 관심의 표현이니까요.” 국립 극장에 몸 담기 전, 혁신적인 독립 극단 연극계에서 활동했던 그는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 선택에 신중해야 합니다. 이 때, 관객이 누구인지가 중요한 고려 대상입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기자들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기도 합니다. 꼭 관객의 입맛에 맞는 공연을 추구해야 한다기 보다는 관객이 너무 지루하지 않는, 관객과 너무 동떨어진 공연을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라고 말한다.


VIEWMASTER (2010) 안무: Ioanna Portolou/Griffon Dance Company


일례로, Houvardas 의 혁신적인 이니셔티브인 Common View는 다양한 예술 장르와 형태들, 즉, 시각 예술이나 영화와 같은 다른 예술 장르와 함께 하는 행사 시리즈 기획으로, 레파토리에 대한 관객과의 대화 및 만남의 장도 갖고 있는데, 이는 그가 국립 극장에 재직하기 이전에는 고려되지 않았던 부분이다. 고전 에우리피데스 작품을 30차례도 넘게 감독한 Houvardas 는 “저는 젊은 영화 제작자들, 감독들, 극작가들에게 기회를 주는 국립 극장, 젊은 세대에게도 가능성을 제시하는 국립 극장을 만들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라고 말한다.


Houvardas 는 또 새로운 작품과 국제 교류를 추구하는 Notos Theatre Company (1991-2007)의 창단자이기도 하다. 그가 느끼는 국제 교류의 중요성은 인터뷰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리스 이외 국가에서도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시즌에, 저는 예술적 성과와 금전적 보상 간 균형을 감안해, 해외로 나가 작품 감독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그리스 연극의 특징을 짚어 달라는 질문에 그는 답했다. “그리스 공연 예술의 특징이 무엇이라고 꼬집어 말하기는 어렵습니다. 아마도, 다른 유럽 연극보다 그리스 연극이 보다 고전적이다 정도가 전부일 것 같습니다. 연극 공연시 늘상 해오던 방식을 깬 다는 것은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저는 작품을 하면서, 전통과 실험 간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서, 제가 포스트 모던 감독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의 생각과 달리, 사실 저는 모더니티를 추구하는 과정에서 오히려 많은 것을 배우는 것 같습니다.” 낮에는 극장 경영에 몰두하고 밤에는 리허설을 감독하는, 화려한 경력과 능력의 소유자의 답변치곤 참으로 겸허한 대답이었다.


그리스는 예술 창작과 감상의 풍부한 전통과 역사를 자랑하는 곳이다. 최근에는 창작과 감상을 생산과 소비라고 일컫는데 이는 특히나 현재의 경제 현실 때문인 것도 같다. 이제 궁금한 점은 과연 이러한 과거의 전통이 현재와 같은 경제 위기 상황에서 어떤 의미를 가질까 하는 것이다. 과연 이러한 전통이 그리스 문화 전통의 주축을 이루는 공연예술의 경제 현실을 타개하는데 도움이 될까? 이 난해한 질문에 대해서는 아마도 고대 그리스에서 사제에게 신탁을 하는 심정으로 .답을 구해야 할 듯싶다. “그리스에서 경제 위기의 영향은 더 두고 봐야 할 듯 합니다.” Houvardas는 말한다. 현재 예술계가 직면한 경제 위기를 극복하는데 그리스의 유구한 예술 전통이 어떻게 기여할 것인지 기대된다.

본 기고문 작성에 도움을 준 Christina Polychroniadou 에게 감사의 뜻을 전한다.

 

글쓴이 소개:
바니니 벨라르미노는 베를린에서 활동하는 프로듀서이자 큐레이터로 주로 다원 예술과 다양한 예술 장르의 교류 및 국제 협력을 담당한다. 벨라르미노는 문화 예술 분야 국제 프로젝트 경영 및 홍보 컨설팅 단체인 벨라르미노&파트너(Belarmino&Partners)의 창립자이자 경영자이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belarminopartner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미주
1) 폴 카트리지(Paul Cartledge)의 저서 “그리스 사람들: 자아와 타자의 초상(1993)”에서 인용됨
Paul Cartledge, 1993, New York, United States: Oxford University Press, p. 191.

2) 폴 카트리지 저서 “그리스 사람들: 자아와 타자의 초상(1993)”의 1장과 2장을 참고해 작성됨

3) 헤로데온 극장(Herodeon Theatre) http://en.wikipedia.org/wiki/Odeon_of_Herodes_Atticus

4) 에피다우로스 극장(Epidaurus Theatre) http://en.wikipedia.org/wiki/Epidaurus

5) 그리스 국립 극장(National Theatre of Greece)< http://www.n-t.gr/en/nation

6) http://www.kinitiras.com/

7) http://fullhousepromotion.gr/site/index.php?

option=com_content&view=article&id=50&Itemid=60&lang=en

8) 파나기리는 그리스의 축하 연회가 펼쳐지는 곳으로 라이브 음악과 다양한 행사가 제공되며, 이 행사에서 지역사회민들이 광장에 모여 음주가무를 즐긴다.
9) 오레스테스(Orestes) http://www.n-t.gr/en/events/orestis/

10) Yannis Houvardas http://www.n-t.gr/en/nationaltheatre/artisticdirector/

 11) 그리스 문화관광부(Hellenic Ministry of Culture and Tourism) http://www.yppo.gr/0/eindex.jsp

12) 출처: 문화관광부 웹사이트, 2010년 8월 30일
13) 2009-2010그리스 문화 연례 보고서
14) 아티스 극장 컴퍼니(Attis theatre company)

http://en.alexandrinsky.ru/articles/festival/participantsoffestiv/attistheater

15) I Nea Skini/the New Stage http://www.neaskini.gr/lefterisVoyatzis.htm

16) http://www.theatroneoukosmou.gr/

17) 풀 하우스 프로모션(Full House Promotion) < http://www.fullhousepromotion.gr

18) 풀 하우스 프로모션 Christina Polychroniadou 문화 매니저인터뷰, 아테네, 그리스, 2010년 7월 21일

19) 주요 프로젝트< http://www.yppo.gr/4/e40index.jsp

20) 문화 유산(Cultural Heritage)< http://www.yppo.gr/5/e50index.jsp
21) 현대 문화(Modern Culture)< http://www.yppo.gr/6/e60index.jsp
22) 국가 예산 2010년, 그리스 재정부  Excutive Summary 예산 부분, Code 21, p. 23, 자료 발췌일: 2010년 8월 28일
23) 북부 그리스 국립 극장 (The State Theatre of Northern Greece)< http://www.ntng.gr/
24)Municipal and Regional Theatres in Greece

25) 그리스 국립 오페라(Greek National Opera)  http://www.nationalopera.gr/index.php

26) 아테네 국립 오케스트라(Athens State Orchestra) http://www.koa.gr/?i=koa.en.athensstateorchestra

27) Thessaloniki State Orchestra www.tsso.gr/

28) 헬레닉 음악 국립 오케스트라 (State Orchestra of Hellenic Music)< www.hellenicmusic.org/

29) Orchestra of the Colours< www.orchestraofcolours.gr/

30) 그리스 국립 극장 Yannis Houvardas예술 감독과의 인터뷰, 2010년 7월 16일 그리스 에피다우로스


  • 기고자

  • 바니니 벨라미노 _ 벨라미르노&파트너 대표

Tag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