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아프로 포커스

하토야마 신정부의 문화예술정책을 살펴본다 2010-02-03

: 기무라 노리코 (프리랜서 공연기획자)

 

 

16년 만에 여야 정권교체를 이룬 하토야마 정권이 71%라는 국민의 지지를 받아 2009년9월16일에 출범했다. 국민들의 큰 기대 속에서 탄생한 신정부지만 문화예술정책에 관해서는 시작부터 불투명하다는 지적이 많다.
그런 상황 속에, 지난 11월부터 정부예산에 대한 사업재조정 심의 작업이 실시됐다. 그 내용은 TV나 인터넷으로 공개되어 일본의 국민적인 이슈가 되기도 했다. 사업재조정은 국민의 소중한 세금을 아껴 쓰자는 의도로 이제까지 추진해온 국가 사업을 전반적으로 다시 재점검하는 것인데 이번 경우에는 87개 국가 사업들이 그 대상으로 떠올랐다. 그 속에는 문화예술 분야도 적지 않다.

 

<사업재조정 대상 사업>
- 예술가의 국제교류 사업
- 어린이 전통예능 교실 사업
- 예술가의 학교 파견 사업, 커뮤니케이션교육 거점 형성 사업
- 독립법인 일본예술문화진흥회 관연 사업

 

위 사업은 모두 문부과학성 문화청이 지원하는 사업인데, <예술가의 국제교류 사업>은 그 성과가 불투명하다는 이유 등으로 예산이 삭감 되었고, <어린이 전통예능 교실 사업>과 <예술가의 학교 파견 사업> 및 <커뮤니케이션교육 거점형성 사업>은 ‘지자체나 민간단체에서 실시하는 것이 적당하며’ 국가 예산사업으로 부적절하다는 판단으로 ‘국가 사업으로서는 폐지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또 <독립법인 일본예술문화진흥회 관련 사업>에서는 예술문화진흥회가 사업을 위탁하고 있는 재단법인 신국립극장 운영재단과 재단법인 오키나와 운영재단, 그리고 예술창조 지역문화진흥 사업(지역창조), 어린이 우수무대예술체험 사업, 예술문화진흥기금 사업 등의 예산을 대폭 삭감한다는 의견이 제출되었다. 물론 사업재조정 작업은 끝까지 12명의 심의원들의 의견을 정리한 것이지만 국가예산 편성에 큰 영향을 끼칠 것이다.

 

이 결과를 받아 일본예능실연가단체협의회(예단협) 등의 관계자들은 “예술의 공공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다”, “이제까지의 문화예술정책을 모두 없애지는 일이다” 등 철학과 전략이 없는 사업재조정 작업에 반발하며 앞으로의 문화예술진흥을 걱정하는 목소리를 높였다. 또 무대예술 종사자들의 목소리를 모아 문화청에 의견서를 제출하거나 이 사태를 다각적으로 검토하여 다시 문화예술지원과 정책을 뒤돌아보는 각종 포럼 등도 개최 되었으며, 사업재조정 결과보다 더 나은 결과를 얻기 위해 예술인들이 계속 노력하고 있다.

이 국가적인 사업재조정 작업을 앞 둔 10월, 한국에서도 <과학 하는 마음>, <서울 시민>, <도쿄 노트> 등의 ‘조용한 연극’으로 잘 알려져 있는 극작가이며 연출가인 히라타 오리자씨가 신정부의 내각관방 참여(內閣官房參與)로 취임하여 큰 주목을 받았다. 그는 앞으로 문화정책, 교육, 동아시아 외교 문제 등에 관해 정보제공과 정책제안을 해나갈 예정이다. 예술가로서는 처음으로 직접 국가 행정에 참여하게 됐는데, 그는 문화정책을 논한 <예술입국론> (2001년, 슈에이샤)이라는 저서도 출판한 바 있다.


‘내각관방(Cabinet Secretariat)’은 내각의 보조기관이자 내각의 수장인 총리대신을 보좌하여 지원하는 내각부 소속의 일본의 행정기관이다. 내각의 서무, 주요 정책의 기획, 입안, 조정, 정보의 수집 등을 담당하고 있는데 ‘참여’는 학식자를 행정에 참여시켰을 때의 직위이다.


히라타 오리자는 아사히 신문의 인터뷰(2009년11월2일자)에서 신정부의 문화예술정책에 대해 3개의 주요 방향을 말했다.


하나는 일본의 산업구조 변화에 맞는 문화예술정책이 중요하다는 점인데, 공업국가에서 정보 및 서비스 산업국가로 변한 현대 사회에서는 앞으로 외교 및 관광 산업까지도 조망하는 국제적인 문화전략과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중시하는 새로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둘째는 한국이나 프랑스에서는 연극, 오페라, 영화 등의 예술이 국가의 중요산업이라는 인식이 높인데 반해, 일본은 아직까지도 이러한 인식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이점을 인식시키고 육성하는 극장을 조성하기 위해 <극장법>을 빠른 시일 내에 제정해야 한다고 한다. 그는 “일본 전국에 있는 이천여 개나 되는 공공극장은 거의 대부분 대관 사업을 주 업무로 하고 있으며 창조적인 활동을 전혀 못 하고 있다.

그 중, 30-40 극장이 예술감독제로 하여 기획공연을 올리는 공공극장으로 바뀌면 이들 극장은 지역의 관광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유럽에서는 도시에 극장이 있는지 없는지가 관광객을 모을 수 있는 하나의 요소가 되고 있다”며 공공극장의 역할을 중심을 제안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이제까지 국가 지원을 받아 지역의 예술활동의 중심이 되고 있던 민간 극장들을 소외시키고 다양한 연극 활동을 궁지에 모는 제도가 될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하는 목소리들도 있다.


셋째는 무대예술에 대한 국고 보조는 더 이상 증액하기 어렵다는 입장에서 문부과학성 문화청, 외무성 (일본국제교류기금), 총무성 (지역창조기금) 등에 각각 흩어져 있던 각종 지원금을 정리 통합하여 ‘문화 예산’으로 재편성한다는 점이다. 문화청의 연간 예산은 약 1천억 엔이며, 각 기관의 예산을 합산하면 총 5천억 엔이 된다.



신정부가 출범하면서 분주하게 돌아가고 있는 일본 사회에서 최근 이슈가 된 문화예술 관련 화두를 통해 신정부의 문화예술정책을 살펴보려 하였다. 그러나 아직 신정부의 정책 설계는 이행기에 있으며 기본 노선을 정하지 못 하고 있는 게 현실인 것 같다. 더 좋은 문화예술환경과 문화전략을 마련하기 위해 하토야마 신정부가 어떤 정책을 내세울지 지켜보고 싶다.










 

  • 기고자

  • 기무라 노리코 _ 한일연극교류협회 전문위원

Tag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