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아프로 포커스

2023 SPAF 안무가 인터뷰 ➁ 허성임 2023-11-29
 

몸을 통해 살펴보는 미디어와 소통의 문제들, 과정 공유
<내일은지금이고오늘은어제이다>

 

 

인터뷰어: 조형빈_무용비평가
인터뷰이: 허성임_안무가


 
왼쪽부터 조형빈, 허성임 ©더아프로
 

한국을 대표하는 국제공연예술축제, 2023 서울국제공연예술제(SPAF, Seoul Performing Arts Festival)가 약 한 달간의 긴 여정 끝에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올해로 23회째를 맞이한 서울국제공연예술제는 동시대적 관점과 시대적 가치를 담아내는 국제 공연예술 축제라는 새로운 비전과 미션을 구현하기 위하여 총 19편의 다채로운 공연 프로그램을 선보였다.
 
지난 시간에 이어 더아프로에서는 서울국제공연예술제를 빛낸 다국적 예술가 가운데 역학적이면서도 추상적인 움직임으로 동시대의 사회적 이슈를 과감히 그려낸 안무가 허성임을 만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몸을 통해 던진 동시대의 질문, 안무가 허성임
 
조형빈: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오늘 허성임 안무가님을 모시고 이번 작업 내일은지금이고오늘은어제이다에 대해서 이야기를 나누어 보려고 합니다. 먼저 최근에 하셨던 작업을 중심으로 간단히 자기소개를 부탁드려도 될까요?
 
허성임: 안녕하세요. 저는 허성임이고, 현재 유럽과 영국, 한국을 오가면서 작업을 하고 있는 안무가입니다. 컨템포러리라는 것이 동시대성을 의미한다고 할 때, 동시대적으로 살아가면서 공감할 수 있는 문제들을 주제로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2019년에 만들었던 넛 크러셔라는 작업은 여성의 대상화의 문제에 있어서 우리나라에서 #미투 운동이 어떤 형태로 이루어졌는지 그것을 수면 위로 올려놓고자 하는 작업이었고, 2021년의 W.A.Y에서는 이분법적으로 나눌 수 없는 성 정체성에 대한 문제를, 작년의 사라지는 모든 것은 극적이다에서는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맞닥뜨리게 되는 죽음에 관해서 이야기하고자 했습니다.
 
허 프로젝트 내일은지금이고오늘은어제이다© 2023 SPAF / 사진 옥상훈
 
조형빈: 사회적인 이슈, 모두가 자신의 일로 경험할 수밖에 없는 주제들을 다루어 오신 것 같습니다. 올해 서울국제공연예술제(2023 SPAF)에서는 내일은지금이고오늘은어제이다라는 제목으로 작업의 과정을 공유해 주셨는데요. 어떤 작업이었는지 설명을 부탁드립니다.
 
허성임: 요즘 지하철을 타면 모든 사람들이 핸드폰을 들여다보고 있어요. 어느새 이것이 아주 일상적인 광경이 되었지만, 저에게는 이상하게 느껴졌거든요. 어린 초등학생 때부터 핸드폰을 들고 다니고 그 미디어를 통해 세상을 보는 것이 익숙해지면서, 인간과 인간 사이의 소통이 더 힘들어졌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런 것들을 우리가 어떻게 자각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만들어 보고 싶었어요.
 
가장 궁금했던 것은 어떻게 미디어 없이 미디어를 표현할 수 있을까 하는 부분이었어요. 프로젝터나 다른 장치들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몸만으로 미디어가 될 수 있을지, 이모티콘 같은 소통의 언어가 될 수 있을지 시도해 보고 싶었습니다. 제가 항상 흥미를 갖고 관심을 기울이는 것은 신체를 통해 어디까지 갈 수 있고 무엇을 추출해낼 수 있는가 하는 점인데요. 이번 작업에서도 살아 숨 쉬는 몸이 어떻게 정보들이 될 수 있을지를 고민했습니다.
 
 
과정 공유라는 새로운 시도
 
조형빈: 이번 작업은 과정 공유라는 형태로 선보이셨는데요. 어떤 이유에서 이러한 형태로 작업을 선보이게 되었나요?
 
허성임: 저는 영국에 있고, 작업을 위해서 여러 나라의 사람들과 함께 협업하고 있어요. 그래서 한국에서 한꺼번에 모여 작업을 하기 위해서는 시간과 자원들이 필요합니다. 저는 리서치 시간을 오래 가지는 편인데, 이번 작업은 올해 3월부터 4주의 시간을 나누어서 리허설하는 시간을 가졌고 중간 과정을 관객들과 공유함으로써 피드백을 받고자 했어요. 충분한 형태의 작업이 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더 필요했기 때문에, 완결된 형태의 작업보다는 작업을 디벨롭시키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중간에 이야기 나누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허 프로젝트 내일은지금이고오늘은어제이다© 2023 SPAF / 사진 옥상훈
 

조형빈: 두 번에 걸친 공연 후에 각각 오픈 톡(open talk)이 진행되었는데요. 관객들의 흥미로운 피드백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허성임: 작업을 하다 보면 모든 피드백은 결과적으로 다 도움이 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이렇게 과정 공유의 형태가 아니더라도 저는 항상 작업 과정에서 사람들을 모아놓고 공유하는 것을 선호하거든요. 특히나 제가 퍼포머로 참여할 때는 더 그렇죠. 오늘 해주신 말씀들도 다 적어놓았는데, 이것이 결과적으로 어떤 모양새가 될지 기대가 됩니다. 저는 작업을 할 때 스트럭쳐를 만들어 놓고 필요 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방식을 택하곤 하는데, 이번에도 스트럭쳐를 먼저 만들고 그것을 한번 확인받는 시간이 되었던 것 같아요.
 
조형빈: 오픈 톡에서 어떤 관객분이 조명 색깔을 언급하시면서 특정 소셜미디어의 느낌이 났다고 피드백을 주시기도 했고, 또 다른 분은 허성임 안무가의 시그니처 무브먼트로 느껴지는 동작에 대해서 질문하기도 하셨어요. 저는 개인적으로 무용수들이 대사를 하는 장면에 이르러서 움직임들이 미디어 자체를 은유하고 있다는 것을 느꼈던 것 같거든요.
 
허성임: 맞아요. 즉각적으로 몸이 미디어로 느껴지기보다는, 후반부에 가서 이것이 미디어임을 퍼뜩 깨닫게 하는 방식에 중점을 뒀습니다. 관객들이 궁금함을 가지고 지켜보다가 어느 순간 그것이 들어오는 흐름을 만들고 싶었거든요. 조명 디자이너님도 움직임이 드러날 때 어떤 특정한 조명이나 미디어들이 같이 움직이는 건 어떻겠냐는 의견을 주기도 하셨죠.
 
조형빈: 또 객석에서 주신 인상적이었던 질문 중 하나는 허성임 안무가의 작업 안에서 항상 보이는 에너지에 대한 것이었는데요. 이 작업에서 에너지는 어떤 의미를 가지나요?
 
허성임: 제 작업에서 에너지는 가장 중요한 요소입니다. 무대에서 살아 숨 쉬는 것, 그 자유로운 상태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 에너지를 어떻게 긍정적인 것으로 가져갈 수 있을지, 그리고 에너지를 통해 어떻게 신체를 다시 찾을 수 있는지에 대해 초점을 맞추고 있어요. 현재 이 작업은 스트럭쳐가 너무 안정되어 있어요. 관객이 주신 코멘트도 이러한 부분을 포착하셨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어느 한 부분을 확 끌어내면 더 흥미로워질 텐데, 지금의 스트럭쳐를 깨고 어떻게 불안정한 것을 만들어 낼지 저 스스로와 싸워야 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허 프로젝트 내일은지금이고오늘은어제이다© 2023 SPAF / 사진 옥상훈
 

조형빈: 작업을 만드는 건 언제나 긴 여정이라고 생각합니다. 공연을 올리고 나서도 이것이 과연 완성이 됐나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하잖아요. 저는 무용비평가로서 작업의 중간 과정을 공유하는 이와 같은 일들이 훨씬 더 많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보거든요.
 
허성임: 동감입니다. 저도 이런 형태의 과정공유가 아니더라도, 작업을 하면서 계속 사람들에게 보러 와줄 수 있냐고 물어요. 작업을 함께하는 드라마투르기가 없다면 프로듀서나, 작업을 함께하지 않는 동료라도 와서 보고 이야기를 나누었으면 하죠. 특히나 제가 작업 안에 퍼포머로서 들어가는 지금과 같은 경우라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 같고요. 결국에는 저라는 필터를 거쳐서 선택을 하게 되지만 우선은 모든 의견을 다 들어보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해요. 이번과 같이 프레젠테이션을 하면서 과정공유를 한 것은 처음이라, 작업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조형빈: 이번 과정 공유에서 나온 피드백들이 작품을 어떻게 완성시킬지, 저도 기대가 됩니다. 앞으로 이 작업은 어떤 과정을 거칠 예정인가요?
 
허성임: 우선은 영국에서 초연이 이루어질 것 같습니다. 더플레이스(The Place)에서의 지원도 있었고, 내년 봄에 작업을 더 디벨롭시켜서 5월에 초연하는 것을 목표로 잡고 있어요. 현재로서는 최소한 3주 이상의 시간이 더 필요할 것 같아요. 스트럭쳐를 다 깨보고, 그것을 어떻게 솎아낼 수 있을지 고민해볼 예정입니다.
 
조형빈: 완성된 <내일은지금이고오늘은어제이다>의 모습이 궁금해집니다. 공연 후 있었던 관객들의 피드백이 어떻게 작업을 변화시킬지도 기대되고요. 다시 한 번 작품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네요. 다음 공연을 기약하면서, 오늘 인터뷰는 여기서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허성임
 
허성임은 동시대 사회문제를 조명하고 이를 역동적이면서도 추상적인 움직임으로 과감하게 표현하는 안무가다. 벨기에 P.A.R.T.S(Performing Arts Research and Training Studios)에서 안무가 과정을 졸업한 후 Jan Fabre, Les Ballets c de la B, Cie Alias, Abattoir Ferme, Needcompany 등과 협연했다. 다양한 장르의 아티스트들과 협업하여 작품을 창작해 왔으며, 한국은 물론 유럽 무용계에서도 예술가로 활동영역을 넓혀가고 있다.
 
 

 
조형빈
 
공연을 보고 글을 쓴다. 사회학과 문화연구를 전공하고 무용월간지 , 웹진 in등에서 기자와 편집위원을 지내며 다양한 매체에 동시대 무용에 대한 비평글을 기고/발표하였다. 몸과 움직임이 사회와 연결되는 '정치적인 몸'의 순간들에 관심이 있으며, 몸이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해석하는 일을 주로 해왔다. 비평지 에디토리얼 콜렉티브 널의 편집장을 맡고 있다. @hyeongbin_rd
 
Tag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