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아프로 포커스

문화예술 지원 모색하기 - 베를린 상원 문화국의 재정지원 체계 개괄 2010-11-30

문화예술 지원 모색하기
베를린 상원 문화국의 재정지원 체계 개괄


글. 바니니 벨라미노( Vanini Belarmino)
독일, 베를린


“문화는 유럽과 세계 전역에서 베를린의 이미지를 대표합니다.” 베를린 상원의 문화국 대변인 Torsten Woehlert 박사는 말한다. 독일의 수도 베를린의 문화예술 연간 투자액은 총 5억 유로로 상원에서는 “베를린의 12개 구에 1억 3천만 유로를 할당하고 나머지 3억 7천만 유로를 문화예술 진흥 기금으로 집행한다.” 문화예술 예산 중 85%는 주로 시립 극장 유지비나 오페라, 문화 단체들의 보조금으로 지출되며, 나머지 15%는 “freie scene(독립)” 예술 단체들에게 지급된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베를린 상원은 문화예술계에서 5대 주요 지원축 중 한 축에 불과하다는 점이다. 연방 정부, 구청, 외국 대사관, 민간 업계(즉, 음악산업, 패션업계, 출판사 등)도 베를린 문화예술 진흥에 큰 몫을 하며 정기적으로 체계적인 재정지원을 해 왔다. 그렇다면, 무엇이 문제인가? 도대체 왜 단체 소속 예술가건 독립 예술가나 단체건 할 것 없이 유럽의 떠오르는 문화 수도 베를린의 재정 지원 결핍과 부재를 토로하는 것일까?


국제적 문화예술의 장, 베를린 예술계의 문화예술 활동은 단순히 “활발하다”는 수사로는 다 담아낼 수 없는 역동성을 자랑한다. 오늘날 베를린은 약 5,000여명의 비쥬얼 아티스트, 1,200명의 작가, 1,500명의 팝 음악인과 로커 및 세계적인 음악 그룹, 500명의 째즈 뮤지션, 103명의 프로 오케스트라와 앙상블, 1,500명의 코러스, 300개의 극단, 1,000명의 현대 무용 안무가와 무용수들이 활동하는 본거지이다. 비교적 저렴한 생활비와 한 때 분단의 접경지였던 베를린의 열린 공간들은 “1989년을 전후로 태동한 베를린 고유의 역사 덕분에 젊은 예술가들과 창의적인 인재들을 매료시켜왔다.” 800만 명이 거주할 수 있는 공간, 베를린의 현재 인구는 350만으로, 베를린은 여전히 더 많은 이들을 수용할 수 있는 도시이자 예술가들이 창의적 기량을 펼칠 수 있는 기회의 땅이기도 하다.


Woehlert 박사에 따르면, 베를린은 “관광 수입이 80억 유로”에 달한다고 한다. 관광 산업 발전의 주요 원인은 바로 베를린의 문화적 역동성 때문이다. 박물관과 갤러리는 차치하고라도, 3개의 오페라 하우스, 8개의 대극장, 120개의 소극장과 7개의 오케스트라가 있는 도시는 유럽에서 베를린이 유일하다. 시 정부가 지원하는 수많은 공연예술 공간과 단체들 가운데 헤벨 극장(Hebbel-Theater Berlin1)), 프리드리히슈타트팔라스트 공항공단(Friedrichstadtpalast Betriebsgesellschaft2)), 베를린 오페라 재단(Stiftung Oper in Berlin3)),Deutsches Theater/Kammerspiele4), 폭스뷔네(Volksbühne5)), 막심 고르키 극장(Maxim Gorki Theater6)), 안데어 파카우에 극단(Theater an der Parkaue7)), 베를린 샤우뷔네 극단(Schaubühne am Lehniner Platz 8)), 그립스 극장(Grips-Theater9)), Neue Theater Betriebs – 베를린 르네상스 극장(Renaissance Theater Berlin10)), 베를리너 앙상블(Berliner Ensemble 11)), 샤샤발츠와  친구들(Sasha Waltz and Guests12))에 특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 극장과 극단의 유지비와 운영비에 따라, 베를린 시는 약 2억 4천만 유로에 달하는 연간 예산을 이들에게 지급한다.


“문화 예술은 단지 베를린을 돋보이게 하는 요소가 아닙니다. 또, 그저 있으면 좋은 그런 분야도 아닙니다. 문화예술은 베를린 경제 수익의 주요 축입니다.” 49세의 Woehlert박사는 말한다. 시립 극장이나 기타 단체들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 왔으나, 이제 베를린은 국제예술계의 변화하고 넘쳐나는 수요에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해답을 찾을 때이다. Woehlert박사는 말을 잇는다. “ (상원 내에 현장 문화예술인들과 같은 기층 전문가들이 필요하다는)인식이 확산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의 말은 수사적 질문을 남긴다. “그렇다면, 우리가 더 많은 예산을 지출해야 하는가?”


기관의 재정 지원과 독립 예술 단체의 생존


“현실적으로, 예산 증가율은 문화예술 활동 증가율을 결코 따라잡지 못할 것입니다. 이러한 불균형은 독일의 오페라와 연극이 장구한 전통을 갖고 있다는 역사적, 구조적 원인에서 비롯됩니다. 총 예산의85%가 인건비 충당에 쓰이고 있으며, 나머지로 다양한 프로그램에 대한 지원 예산을 마련합니다. 또, 이들 기관과 단체에는 공무원들이 배정되어 일하고 있습니다." Woehlert박사는 설명한다. 

 
그는 말을 이어간다. “여타 기관에서 자금 지원을 따낸 단체들은 정부 재정 지원을 받을 확률도 높습니다. 오페라 하우스가 문을 닫으면 시 차원에서도 득이 될 것이 없습니다. 오히려 비용만 축내는 거죠. 따라서 시에서도 손해를 안 보려면 문화예술 진흥을 위한 자금 지원을 계속 해야 하겠죠.” 프로그램 유지 차원에서 시 정부는 또한 예술 단체들에게 다른 재정 지원처 모색을 권장한다. 아울러, 정부 지원뿐만 아니라 민간 기금 지원도 모색하고, 독립 단체들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를 구축할 것도 권장한다. 단체들이 이런 권장 사항을 준수할 조건으로 재정 지원을 하면서, 시 정부는 독립 단체들과의 합작 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익 내역 및 경로를 조사한다. 시 정부는 이 단체들이 극장 임대료나 제작 비용 명목으로, 독립 예술계의 신생 협력 단체에게 지나친 재정 부담을 안기는 일은 지양할 것을 권고한다. 반면, 해외 단체 파트너쉽의 경우에는 오히려 재정적 잇점이 있을 수 있다. 의회는 자금지원을 받은 단체들이 경제적인 측면에서 효과적인 운영을 했는지, 예를 들어, 관객 개발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등에 대해 책임을 지도록 하고 있다. 한편, 단체 자금지원을 증액할 것이냐 감축할 것이냐를 놓고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한편, “독립 예술 단체”에 대한 지원은 “의무 사항”은 아니다. Woehlert 박사는 지원 할당 원칙 상 “시 정부가 독립 예술 공간과 단체들을 지원할 의무는 없으며, 법적으로는 독립 예술 단체들이 재정 지원 자격을 갖추고 있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예산 삭감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들 독립 단체들에게 자금지원을 하지 않을 경우, 경제적 손실은 크게 없겠지만, 문화적, 정치적으로 우리가 원하지 않은 결과가 초래될 수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현재 베를린 상원에서는 공모전을 통해 발탁된 신진 예술가와 예술 단체들을 위해 연간 1000만 유로의 예산을 집행하고 있다.


베를린 자금지원 구조


베를린 상원 문화국 시장은 베를린주 관할권 내의 문화예술 진흥에 힘쓰고 있으며, 베를린에 소재한 예술가와 예술가 그룹이 창작한 양질의 우수 작품 배양에 주력하고 있다. 상원은 예술가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국적에 상관없이 예술 작품 및 재정 지원 프로젝트 및 예술가 장학금을 제공하며, 미술, 사진, 뉴 미디어, 문학, 음악, 공연예술, 연극, 무용, 영화, 다학제적 장르 분야에서 활동하는 비영리 단체라면 누구나 해당 지원을 받을 자격이 주어진다. 자금 지원 대상은 베를린의 전문 예술 영역으로 작품의 퀄러티, 문화적 다양성, 혁신성이 선발 기준이다. 또한, 이러한 자금지원은, 해외 단체를 포함한 단체들간 협력을 강화하고 공연 옵션을 다양화하며, 장학금 지급을 통해 예술가의 작품 제작 환경 및 예술 개발을 증진하는 것을 취지로 한다. 베를린 상원은 현 시대의 예술적, 사회적 담론에 부합하고 가장 주요하게는 베를린에서 가시화될 수 있는 컨셉과 프로젝트를 개발하도록 독려한다.


정부 보조금과 프로젝트 자금지원 결정은 대개 심사위원단 및 자문 이사회의 권고에 따라 결정된다. 심사위원단과 자문 이사회에 속한 전문가들은 정부와는 독립적인 관계에 있으며, 신청작들을 평가하는 과정에서 예술의 자유, 투명하고 공정한 심사의 원칙을 준수하는 엄격한 절차를 통해 최종 작품을 선발, 추천하게 된다. 정책 결정 기구는 예술 현장의 다양한 부문에서 발탁한 인사들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창작 활동 분야, 예술경영/임원 경영, 학계, 비평가, 예술 교육가, 예술가 등이 정책 결정 기구를 구성하며, 창작 활동 분야의 경우에는 미학적 특성, 장르, 스타일, 관점 등 세부 분야로 나뉘어 전문가가 발탁되고, 그 밖에도 정책 기구 구성시, 성별, 문화적 배경(국적/이주 경험)등에 있어서도 균형적인 안배가 이루어진다. 이들은 예술적, 문화적 담론과 예술 개발 전반에 대한 식견이 있고, 문화 예술의 특정 분야에 대한 전문 경험과 지식을 갖추고 있으며, 예술가 양성과 예술 장르의 개발 및 진흥에 열정과 의지가 있어야 한다. 심사위원단 구성의 경우, 대개 1년을 단위로 정기적인 인사 변동이 있다.


Woehlert 박사는 “이 시스템은 가장 공정한 제도라고 봅니다. 정식 공고가 나고 작품 신청이 이루어지면 심사위원단의 권고에 따라 작품 선정이 이루어집니다. 어떤 정치적 개입도 없구요. 그러나, 정치계쪽에서 혹은 정치인들이 의회에 별도로 권고안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라고 말한다.


1998년 이래, 베를린 상원에서는 공연예술 독립 단체들을 위한 시스템을 구축했는데, 독립 예술가 그룹과 극장 지원을 Projektförderung” (프로젝트 자금지원)과 “Konzeptförderung” (컨셉 자금지원), 두 가지 형태로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두 자금 지원책 모두 역시 공모전을 통해 선발된 작품과 단체에게 해당되며, Projektförderung에는 460만 유로가Konzeptförderung에는 340만 유로가 책정되어 있다. 프로젝트 지원에는 4가지 분야가 있는데, “Einzelförderung (프로젝트), “Basisförderung” (한 컴퍼니 기준 1-2년), “einjährige Spielstättenförderung” (극장/공연장), “Einstiegsförderung” (신진 예술가 및 예술 단체)가 그것이다. 한편, 컨셉 지원은 공연예술 극단, 단체 및 극장을 대상으로 약 4년 동안 제공된다. 이러한 지원책을 통해 사실상 베를린 시 정부는 정부 예산의 대차대조표 상 예상 손실을 배가시키는 “Fehlbedarfsfinanzierung”을 특정 단체들에게 제공하는 셈이다. 이 두 개의 지원책을 살펴보면, 독립 예술 단체들이 작품 활동을 지속할 수 있는 구조 속에서 밟아 나가야 할 점진적인 단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Konzeptörderung의 수혜 단체는 예술 프로그램 및 작품 개발에 책임을 져야 한다. 즉, 이 단체들은 위원회가 제시한 예술 기준을 충족시킬 수 있는 활동을 전개해야 하며, 이러한 활동 내역은 이듬해 지원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잣대가 된다.


이러한 지원 시스템 덕분에 지난 수년 간, cie.toula limnaios13), 콘스탄자 마크라스/도키 팍(Constanza Macras/Dorky Park14)), 크리스토퍼 윈클러(Christopher Winkler15)), She She Pop16), 곱스쿼드(Gob Squad17)), 리미니 프로토콜(Rimini Prokoll18)), 니코 앤 네비게이터스(Nico and the Navigators19)), Novoflot20), 루바토(Rubato21)), 루브리캣(Lubricat22)), 베를리너 캄머 오페라( Berliner Kammeroper23)),  Zeitgenössische Oper24)와 같은 공연예술 단체들이 알려지게 됐으며, 소피엔젤레(Sophiensaele25)), 발하우스 오스트(Ballhaus Ost26)), 탄츠파브릭(Tanzfabrik27)), Labor Gras28), Dock 1129) Ballhaus Naunynstrasse.30)와 같은 공연 공간과 극장들도 이름을 알리게 됐다. 지난 3-4년 동안 베를린 시가 배출해 낸 명사들을 살펴 보면, 이들이 이른바 독립 공연예술계의 거장들임을 알 수 있다. 또, 일부 인사들은 독일내의 여타  자금지원 기구의 지원 명단이나, 권위 있고 잘 정착된 극장이나 국제 축제 프로그램에서도 종종 발견된다. 이들 중 다수는 많은 시간과 자원(인적 자원, 전문성, 교육 자원)을 투자해 자신들의 예술적 역량을 배양하고 네트워크를 확장하는데 노력해 왔다. 독립 예술단체에 대한 지원 구조나 지원 배당금의 규모가 기존의 대형 단체들에 비해 상당히 부족한 것은 사실이나, 특정 독립 단체들이 받은 재정 지원 내역을 살펴보면, 이제 독립 예술에 대한 지원도 비공식적이나마 제도화되어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Woehlert 박사는 말한다. “독립예술(Freie Scene)은 한 사회의 거울입니다.”


앞서 소개한 모든 과정들을 감안해 볼 때, 베를린의 독립 예술 활성화가 실현되고 있는 듯 하다. 베를린 시의 온라인 플랫폼 http://www.berlin.de/sen/kultur/index.html에서 지원과 관련된 모든 지침, 권장 사항, 기금 지원 및 검토/분석 내용이 공개되었다는 점만 보더라도 위 지원체계가 대중적으로나 창작 예술계에 공히 투명한 제도라는 점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든 데이터를 꼼꼼히 검토하려면, 베를린의 이러한 지원 문화와 사회를 충분히 이해하는 점이 중요하다. 다시 말해, 이 자금 지원액은 결국 독일 납세자의 주머니에서 나오며, 이 예산은 베를린의 지역 예술과 국제 예술계에 분배된다는 점에서, 모든 내역은 지역 언어로 제공되므로, 독일어 능통자의 도움을 받는 편이 유용하다. 또, 이 시스템을 잘 아는 지역 단체의 도움을 받아 능숙하게 독일어로 말하고 제안서를 작성하는 일도 물론 가능하며 현실적인 대안이라 하겠다. 또, 신진 단체의 경우에는, 꾸준한 작품 활동을 통해 단체의 작품과 이름이 알려지도록 하는 일도 중요하다. 어떻게 과거 공연 이력도 많지 않은 상황에서, 창의적 아이디어에만 의존해 작품 활동을 하고 재정적 지원을 받을 수 있겠는가?  물론 프로젝트 컨셉이나 제안서도 지원 대상 선정 기준이 된다. 그러나, 여느 예술 지원 과정과 마찬가지로, 특정 단체가 재정 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응당 보여줄 수 있는 “검증된” 성과가 필요하다. 특히, 베를린처럼 관객의 문화예술 감상 수준이 높은 도시에서 “검증” 받기 위해서는 구성이 탄탄하며 물 셀틈 없이 완벽하고 창의적인 작품을 무대에 올려야 한다. “베를린 상원은 옴니버스 시스템을 따릅니다. 누군가 발탁이 되면, 다른 누군가는 지원을 받지 못하겠지요.” Woehlert 박사는 말한다.


글쓴이 소개:
바니니 벨라미노는 베를린에서 활동하는 프로듀서이자 큐레이터로 주로 다원 예술과 다양한 예술 장르의 교류 및 국제 협력을 담당한다. 벨라르미노는 문화 예술 분야 국제 프로젝트 경영 및 홍보 컨설팅 단체인 벨라르미노&파트너(Belarmino&Partners)의 창립자이자 경영자이다. 자세한 정보는 http://www.belarminopartners.com에서 확인할 수 있다.


관련 링크:
1) Hebbel-Theater Berlin< www.hebbel-am-ufer.de


2) Friedrichstadtpalast Betriebsgesellschaft< www.show-palace.eu


3) Stiftung Oper in Berlin< www.oper-in-berlin.de


4) Deutsches Theater/Kammerspiele< www.deutschestheater.de


5) Volksbühne< www.volksbuehne-berlin.de


6) Maxim Gorki Theater< www.gorki.de/de_DE/home


7) Theater an der Parkaue< www.parkaue.de


8) Schaubühne am Lehniner Platz< www.schaubuehne.de


9) Grips-Theater< www.grips-theater.de


10) Neue Theater Betriebs - Renaissance Theater Berlin< www.renaissance-theater.de/


11) Berliner Ensemble< www.berliner-ensemble.de


12) Sasha Waltz and Guests<www.sashawaltz.de


13) cie.toula limnaios< www.toula.de


14) Constanza Macras/Dorky Park< www.dorkypark.org


15) Christopher Winkler< www.christoph-winkler.info/en/produktionen/hinterlinien.html


16) She She Pop< www.sheshepop.de


17) Gob Squad< www.gobsquad.com


18) Rimini Prokoll< www.rimini-protokoll.de


19) Nico and the Navigators< www.navigators.de


20) Novoflot< www.novoflot.de


21) Tanzcompanie Rubato< http://posterous.com/site/profile/tanzcompagnie-rubato


22) Lubricat< www.lubricat.de


23) Berliner Kammeroper www.berlinerkammeroper.de


24) Zeitgenössische Oper< www.zeitgenoessische-oper.de


25) Sophiensaele< www.sophiensaele.com


26) Ballhaus Ost< www.ballhausost.de


27) Tanzfabrik< www.tanzfabrik-berlin.de


28) Labor Gras< www.laborgras.com


29) Dock 11< www.dock11-berlin.de


30) Ballhaus Naunynstrasse< www.ballhausnaunynstrasse.de


사진 출처/내용 설명:


She-She Pop의 “Testament”, 극장 하우 공연, © Doru Tuch


곱스쿼드의 “Room Service,” 극장 하우 공연, © Gob Squad


"Taking Steps," Christopher Winkler 안무, 소피엔젤레 공연, © Heiko Marquardt


폭스뷔네 민중극장(시 정부 지원 극장), 프랭크 카스토르프 감독이 운영 © Thomas Aurin


Deutsches Theater(1850년 설립), 독일어 사용권 국가의 주요 연극 단체 중 하나. © Arno Declair


  • 기고자

  • 바니니 벨라미노 _ 벨라미르노&파트너 대표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Sha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