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auptstadtkulturfonds: 베를린 문화수도기금
창의적인 공동체 구축을 위한 초석 다지기
바니니 벨라미노(Vanini Belarmino)
독일 베를린
베를린에서 진행하고 싶은 향후 프로젝트 때문에 자금 확보를 해야 한다면, 아티스트건, 프로듀서건, 큐레이터건, 독일어를 아는 사람이건 모르는 사람이건 다음 주문을 따라 해 보시라. Hauptstadtkulturfonds, Hauptstadtkulturfonds, Hauptstadtkulturfonds. 발음이 어렵다면 이 단어의 약자인 HKF를 독일식 발음, 하-카-에프 로 대신해 주문을 외워도 좋다. 주문을 외웠으면 이제 4월 15일과 10월 1일을 캘린더에 잘 표시해 두자. 바로 그 때가 HKF의 총 11 세트로 구성된 안트락스포뮬라(Antrags Formular1), 참가 신청서)와 작품 컨셉 및 프로젝트 배경, CV, 협력 기관이나 문화예술단체, 해당 작품에 참여하는 아티스트 명단, 원하는 예산 등을 함께 제출하는 최종 마감일이다. 모든 첨부 문서는 참가 신청서 왼쪽 사이드에 펀치로 두 개의 구멍을 뚫고 문서들이 떨어지지 않도록 단단히 고정해 제출하는 것이 좋다. 구비 서류와 첨부 문서를 잘 정돈해 함께 제출한다면, 해당 프로젝트를 진행할 수 있는 신청자의 역량과 또 동원 가능한 리소스를 한 눈에 보여줄 수 있다. 모든 서류가 준비됐으면, 이제 브루넨가 188번지 (Brunnenstrasse 188)에 가서 오후 6시 이전에 해당 서류를 제출한다. 정해진 규정만 준수한다면, 프로젝트 컨셉과 장르에 구애 받지 않고 신청할 수 있다. 서류 제출이 끝났으면 이제 휴식을 취하자. 집으로 직행하던 아니면 근처 커피숍에 들려 열심히 준비한 당신에게 충분한 휴식을 선물해야 하지 않겠는가? 이제 다시 주문을 외울 차례다. 신청서 마감시한으로부터 2달 이후 최종 심사 결과가 발표될 때까지 생각날 때마다 주문을 외워라. 베를린 문화수도기금(Capital Cultural Fund Berlin)에서 펀드 제공에 오케이 할 때까지 끊임없이 주문을 외워야 한다는 것을 잊지 말 것. 베를린 문화예술 진흥에 기여할 수 있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수백, 수천의 신청자들이 이 펀드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사실을 기억해야 한다.
20여 년 전 독일이 통일된 이후, 베를린은 전 세계의 예술가들과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가진 문화예술 활동가들의 본거지로 자리잡았다. 베를린이 이렇듯 문화 도시로 성장한 데는 지난 10년간 이를 뒷받침해 준 문화수도기금HKF의 역할이 크다. HKF는 다양한 제안에 열려 있고, 자금 지원시, 프로젝트 주제에 따로 제한을 두지 않는다는 장점 덕분에, 베를린을 창의적인 문화 공간으로 만들어 나가고자 하는 문화예술 단체나 개인들에게 큰 힘이 되어 왔다. 베를린시와 주의 문화예술 활동을 담당하는 상원 문화부(Cultural Department of the Senate)가 1999년에 처음 창설된 이후, HKF의 운영 및 행정 전반을 책임져 왔다. 그 동안 HKF는 4,955여 개의 프로젝트를 심사했고 총 1,205개 프로젝트 (총 1억 300만 유로에 달하는 규모)를 지원했다. HKF는 2009년 한 해만 129개의 문화행사를 지원하는 등, 개별 프로젝트뿐만 아니라 베를린이 독일의 수도로서 갖는 상징성과 의미에 부합하는 다양한 행사에 자금 지원을 해 왔다.
“베를린은 다릅니다. 그 니즈가 다르고 구조가 다릅니다.” 독일의 16개 지역에서 펼쳐지는 문화관련 행사 및 프로젝트의 복잡성에 대해, HKF의 신임 큐레이터인 한스 헬무츠 프린츨러(Hans Helmut Prinsler2))씨가 운을 뗐다. “2010년 4월 신청 마감 시한부터 두 달 이내에, 우리는 자금을 지원할 최종 프로젝트 선발을 끝내게 됩니다. 그리고, 선발 과정을 통해 베를린 문화예술계의 현 트랜드와 예술 사조 등에 대해서도 파악하게 되는 거죠.”
시그리드 가리스(Sigrid Gareis3)), 디르크 룩코브(Dirk Luckow) 박사4), 피터 리겔바우어(Peter Riegelbauer5)), 바르바라 지히터만(Barbara Sichtermann6)), 마르크 테르케시디스(Mark Terkessidis)박사7), 크리스티네 바알(Christine Wahl8)) 등으로 구성된 심사위원단과 함께 프린츨러씨는 문화예술 장르 전반을 아우르는 다양한 제안서들을 평가하고 선발하게 된다. 베를린 공동 위원회가 임명한 이 심사팀은 2010년과 2011년, 일년에 두 차례, 베를린 문화예술인들의 다양한 제안서를 검토하는 중책을 맡고 있다.
문화수도기금 HKF는 건축, 디자인, 전시회, 시각예술, 영화 시리즈, 문학, 음악, 뮤지컬, 공연예술, 무용, 연극, 그리고 이 장르들을 다양한 형태로 결합한 복합예술, 다학제적 프로젝트나 문화교류 촉진 프로그램 등 여러 가지 문화예술 활동을 대상으로 약 1,020만 유로에 달하는 예산을 집행해 왔다. 지원 프로젝트 규모는 건 별로 다르지만, 지원 대상 선발 기준은 문화예술의 발전과 주요 전통 예술 진흥에도 기여할 수 있는 혁신성에 그 주안점을 두고 있다. 프린츨러씨는 “자금 지원 대상 과정에서 신진예술가들과 기존 예술 단체 및 기관들의 지원 안배에 균형을 맞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위험을 감수하고서라도 도전을 하겠다는 입장입니다만, 최종 결과는 심사위원들의 전체적인 견해에 따라 결정됩니다. 선발 과정이 끝나면, 저는 위원회 측에, 최종 선발된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해당 프로젝트가 독일 문화예술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측면을 설명해야 합니다.” 라고 설명을 덧붙였다.
심사위원회에서 최종 선발한 프로젝트는 다시 HKF 공동 위원회의 검토를 거쳐 지원 여부가 결정된다. 공동위원회는 연방 정부 대표 2인과 베를린시 상원 의원 2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프로젝트의 내용과 예술성이 가장 중요한 선발 기준이 되며, 독일 뿐만 아니라 독일외 국가에서도 법적 신분이 보장된 사람이면 누구나 기금 공모에 참가 신청을 할 수 있다. 단, 해당 프로젝트는 베를린 소재 단체가 진행하거나 혹은 베를린 단체와 협력 관계를 맺어 진행되어야 신청 자격이 주어진다. 또, 규정상, 특정 단체 자체에 대한 행정 지원이나 매해 연속 지원은 금하고 있다. 따라서, 모든 개인과 단체는 3년에 일 회 특정 프로젝트에 대해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예외적으로, 심사단의 추천으로 공동 위원회가 승인한 경우, 또, 단체가 베를린에 소재한 경우, 해당 단체의 정기 행사나 프로젝트에 대한 지원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현재, 이런 특수 지원을 받고 있는 단체로는 문화축제 (Karneval der Kulturen9)),베를린 국제 문학 축제(Internationales literaturfestival berlin10)), 댄스 컴퍼니 사샤발츠와 친구들(Sasha Waltz & Guests11)) 국제 무용축제인 탄즈 임 아우구스트(Tanz im August12)), 영유로 클래식 뮤직 페스티벌(Musik Festival Young.Euro.Classic13)) 과 탄즈슈베르펀크트(Tanzschwerpunkt14)) 가 있다. 이 단체들은 3년에 걸쳐 연간 예산을 기준으로 자금을 지원받으며, 이 단체들에 대한 지원액이 HKF전체 예산의 약 30%(총 3백 35만 유로)를 차지한다. 그리고 나머지 70%, 약 6백 85만 유로 정도가 일반 신청자들의 프로젝트 지원에 배당된다.
HKF의 자금지원 현황을 살펴보면 상당히 흥미로운 사실이 눈에 띤다. 지원 대상 단체들의 일부는 이미 탄탄히 뿌리내린 기존 문화단체이고 또 다른 일부는 베를린 예술계15)에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단체들인데, 이들이 차지하는 비율은 비슷하다는 점이다. 이렇듯, 지원 대상에서 규모가 있는 공립 단체 대비 소규모 독립 단체의 비율이 비슷한 이유에 대해 묻자, 프린츨러씨는 다음과 같이 답했다. “베를린의 많은 단체들이 규모에 상관없이 예산난을 겪고 있습니다. 공간은 있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할 자금이 없는 상황입니다.” 단체 입장에서는 HKF와 타 기관으로부터 중복 지원을 받는 것이 가장 이상적일 것이다. 그러나, 타 기관을 통해 정부의 기금 지원을 받는 프로젝트는 HKF 지원 대상에서 제외된다. HKF처럼 자금 지원을 하는 타 정부출연기관들로는 독일연방문화재단(German Federal Cultural Foundation/ Halle an der Saale)16), the Fonds Darstellende Künste e.V.17), the Fonds Soziokultur18), the Deutscher Literaturfonds (Darmstadt)19), the Deutscher Übersetzerfonds (베를린)20) and the Kunstfonds e.V.(본)21)등이 있다.
HKF는 프리랜서 아티스트나 큐레이터 다수에게도 실질적인 기회를 열어주었다. 그 덕분에 프리랜서들도 자신들의 입지를 구축하고 꾸준히 작품 활동을 하며 이를 유지해 나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또, 도키파크 컴퍼니의 콘스탄차 마크라스(Contanza Macras/Dorky Park22)), Rimini Protokoll23), Post Theater (New York/Berlin/Tokyo), The Opera Ensemble Novoflot24), Two Fish25), Solistensemble Kaleidoskop26)와 같은 공연 예술 컴퍼니들이 베를린에서 이름을 얻고, 나아가 해외로도 진출해 지속적인 공연 활동을 펼칠 수 있게 된데도 HKF의 지원이 컸다. 예술 단체에 정기적이고 안정적인 자금 지원을 하는데 따르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HKF는 이렇듯 젊고 독창적인 예술인들이 베를린시에서 시작해 더 큰 기회를 만들어 나갈 플랫폼을 마련해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들이 경력을 쌓고, 네트워크를 구축하며, 예술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문을 열어 주었다. 이러한 아트 이니셔티브들의 대다수가 혁신적이고 진보적인 공모 과정을 통해 진행되며, 그 결과 독립 단체들이 대규모 기관 단체들과 경쟁하고 궁극적으로는 베를린 시 전체 예술계에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자금 지원이 골고루 돌아가게 된다. 또, 이러한 이니셔티브들을 통해 베를린은 현대 예술의 메카로서 그 입지를 공고히 하게 됐으며, 독일과 유럽, 나아가 전 세계에 예술 진흥 노력의 좋은 선례를 남기고 있다. 그런 측면에서, 포스트 극단(Post Theatre)의 막스 슈마허(Max Schumacher )와 마티아스 뵈트거(Matthias Böttger)씨의 말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HKF의 자금 지원 신청은 절차가 까다롭지도 않을 뿐만 아니라, 미래 지향적이며 모두에게 열려 있어, 문화예술 진흥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또, 나아가 다른 여러 나라의 부러움도 사고 있습니다. 현재, 우리는 베를린에서의 창작 활동을 활성화시키는 노력 이외에도 해외 여러 도시의 예술가 및 단체들과도 교류하며 다양한 주제로 논의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HKF는 베를린의 문화예술을 세계에 널리 홍보하는 이른바 “걸어다니는 대사관”이 아닐까 생각됩니다27).”
문화수도기금이 이러한 성과를 얻은 것은 사실 예술가들의 예술 활동이 원동력이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자금 지원을 받는 프로젝트의 범위는 곧 베를린 문화예술 수준의 깊이를 보여준다 하겠다. 자금지원은 새로운 주제와 예술적 미학을 시도하는데 필수 요소이다. 최근 몇 년 간, 세계화의 진전으로 사회 곳곳에 숨가쁜 변화가 일어나면서, 시급한 사회적 이슈들이 제기됐다. 이에 걸맞게, 예술계에서도 이러한 문제점들을 다루는 컨셉이 트랜드가 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세계화 진전 방향에 대한 우려, 가치관의 변화, 일하는 방식과 생활 양식의 변화, 새로운 종교의 출현, 우상 숭배, 전통, 그리고 전통의 소멸, 해외 이주와 국가 정체성, 도시 재개발 문제, 예술적 시각을 통한 문제점들의 재정립 등은 최근 예술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주제들이다. 이렇듯 복잡다단한 이슈들을 주제로 선택하게 되면, 다학제적 접근 방식과 보다 유연한 구조의 작품들이 등장하게 마련이며, 해외의 예술가들, 특히 소규모 극단에도 참여의 기회가 열리게 된다. HKF의 지원 덕분에, 이제 베를린은 국제적으로도 주목을 받고 새로운 형태의 예술 형식을 실현한 수준 높은 작품들이 끊임없이 창작되는 문화예술의 산실로 거듭나게 되었다.
향후 2년 간 HKF를 이끌어 나갈 영화학자 출신의 큐레이터 프린츨러, 그는 다양한 예술 장르가 공존하는 베를린 예술계, 그 지평위로 떠오를 신선한 아이디어에 대해 낙관적인 기대를 피력한다. “예전에, 저는 영화밖에 몰랐습니다. 이제는 미술 아카데미(Akademie der Kuenste28))의 구성원으로써, 연극과 그 밖의 예술 장르에도 친숙해 졌습니다. 그러나, HKF의 큐레이터인만큼, 이제 친숙함을 넘어 예술에 대해 보다 깊이 있게 이해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는 베를린에서 태어나 이곳에서 자랐습니다. 따라서, 다른이들이 베를린을 어떻게 보는지 궁금합니다. 또, 예술계의 움직임을 하나하나 지켜보면서 알아가고 싶습니다. 앞으로는 또 어떤 이슈들이 떠오를지 기대됩니다.”
미주:
1) 안트락스포뮬라(Antrags Formular)는 독일어로 신청서를 의미한다.
2) Hans Helmut Prinsler는 독일 영화학자이자 집필가이다. 2010년 4월 1일부터, 문화수도기금의 큐레이터직에 임명되었다.
http://de.wikipedia.org/wiki/Hans_Helmut_Prinzler
3) Sigrid Gareis, 무용과 연극 분야 큐레이터, 1959년 일러테센 출생. 현재 빈에서 활동하고 있으며, Tanzquartier Vienna의 예술감독을 역임했다. (2000 – 2009년 여름).
http://www.allianzkulturstiftung.de/en/foundation/boards_of_the_foundation/the_advisory_board/portrait_sigrid_gareis/index.html
4) Dr. Dirk Luckow는 독일 예술 역사가이자 큐레이터로, 현재 Deichtorhallen Hamburg의 감독이기도 하다.
http://de.wikipedia.org/wiki/Dirk_Luckow
5) Peter Riegelbauer은 음악가로, the Berliner Philharmoniker의 단원이다.
http://www.berliner-philharmoniker.de/en/berliner-philharmoniker/orchestra/musician/musiker/peter-riegelbauer/
6) Barbara Sichtermann 은 독일 시나리오 작가이다.
http://de.wikipedia.org/wiki/Barbara_Sichtermann
7) Mark Terkessidisis박사는 독일 심리학자이자, 기자, 작가, 이주 분야 연구원이다. 주로 젊은세대 및 대중 문화, 이주, 인종차별 등에 관심을 갖고 활동하고 있다.
http://de.wikipedia.org/wiki/Mark_Terkessidis
8) Christine Wahl은 독일 기자로, Mülheimer Theatertage와 Berlin Senate에서 심사위원직을 맡는 등 다양한 기관에서 심사위원으로 활동한 바 있다.
출처 : http://www.festivalimpulse.de/en/jury.html
9) Karneval der Kulturen
http://www.karneval-berlin.de/de/
10) the internationales literaturfestival berlin
http://www.liteaturfestival.com/
11) Sasha Waltz & Guests
http://www.sashawaltz.de
12) Tanz im August
http://www.tanzimaugust.de/
13) Musik Festival Young.Euro.Classic
http://www.young-euro-classic.de/en/
14) Tanzschwerpunkt
http://www.hzt-berlin.de
15) 2010년 HKF 통계 상세 자료
http://www.hauptstadtkulturfonds.berlin.de/index.php?id=252&L=0
16) Kulturstiftung des Bundes
http://www.kulturstiftung-des-bundes.de
17) the Fonds Darstellende Künste e.V
http://www.fonds-daku.de
18) the Fonds Soziokultur
http://www.fonds-soziokultur.de/html/sozioset.html
19) Deutscher Literaturfonds (Darmstadt)
http://www.deutscher-literaturfonds.de
20) Deutscher Übersetzerfonds (Berlin)
http://www.uebersetzerfonds.de/
21) Kunstfonds e.V. (Bonn)
http://www.kunstfonds.de/
22) Contanza Macras/Dorky Park
http://www.dorkypark.org/
23) Rimini Protokoll
http://www.rimini-protokoll.de/website/de/
24) The Opera Ensemble Novoflot
http://www.novoflot.de/content/menue02/prod03c/en/prod03cen-02-if.html
25) Two Fish
http://www.twofish.info/
26) Solistenenensemble Kaleidoskop
http://www.kaleidoskopmusik.de
27) SMatthias Böttger und Max Schumacher, post theater, 출처: Haupstadtkulturfonds 웹사이트: Resonanz
http://www.hauptstadtkulturfonds.berlin.de/index.php?id=203
28) Akademie der Kuenste
http://www.adk.de
관련 링크:
Beauftragter der Bundesregierung für Kultur und Medien www.kulturstaatsminister.dewww.365-orte.land-der-ideen.de
Der Regierende Bürgermeister von Berlin - Senatskanzlei - Kulturelle Angelegenheiten http://www.berlin.de/sen/kultur/index.html
Fonds Darstellende Künste www.fonds-daku.de
Stiftung Kunstfonds www.kunstfonds.de
Goethe-Institut www.goethe.de
Schering Stiftung www.scheringstiftung.de
Allianz-Kulturstiftung http://www.allianz-kulturstiftung.de
Stiftungssuchdienst des Bundesverbandes Deutscher Stiftungen www.stiftungsindex.de
Kultus- und Wissenschaftsministerien der Länder (Überblick) www.kmk.org/aufg-org/home.htm
Fonds Darstellende Künste www.fonds-daku.de
Stiftung Kunstfonds www.kunstfonds.de
Goethe-Institut www.goethe.de
Schering Stiftung www.scheringstiftung.de
Allianz-Kulturstiftung http://www.allianz-kulturstiftung.de
Stiftungssuchdienst des Bundesverbandes Deutscher Stiftungen www.stiftungsindex.de
Kultus- und Wissenschaftsministerien der Länder (Überblick) www.kmk.org/aufg-org/home.htm
사진설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