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아프로 포커스

사우스뱅크 센터, 예술감독 주드 켈리 2010-06-16

사우스뱅크 센터, 예술감독 주드 켈리
Interview with Jude Kelly, artistic director of the Southbank Centre



인터뷰 진행 및 정리 정명주

런던 탬즈강변에 자리한 사우스뱅크센터는 규모면에서 영국최대의 종합공연예술센터로, 연중 쉬는 날 없이 세계적인 콘서트를 비롯하여 무용, 마임 등의 신체극 공연과 각종 문학관련 이벤트 및 무료문화행사가 수도 없이 벌어지는 활기찬 예술공간이다. 대형음악당인 로열페스티벌홀(2,500석)을 비롯하여, 엘리자베스 홀(900석), 퍼셀룸(365석), 헤이우드 갤러리, 세송 시(Poetry)도서관으로 이루어진 사우스뱅크센터는 연간 250회에 달하는 음악회가 개최되고, 방문객이 3백만명에 달한다. 특히 일반인에게 개방된 ‘열린’ 예술공간을 지향하는 이 곳은 정오 무렵부터 오픈하는 넓은 로비 공간의 카페와 아트샵, 무료 미니 콘서트로 인해 차 한잔을 위한 쉼터이며, 한적한 미팅장소이며, 경치좋은 식당이기도 하다. 더욱이, 팝음악 페스티벌이나 게임페스티발, 어린이페스티발 등이 열리는 주간이면 사우스뱅크 센터 주변은 종일 진기한 행사들과 남녀노소의 방문객들로 부산해진다.

로얄페스티벌홀이 2년간의 개보수공사를 마치고 재오픈한 2007년 부터, 사우스뱅크 센터는 눈에 띄게 다양한 문화행사들이 많아졌다, 재오픈 축하를 위한 세계 거장들의 클래식 음악콘서트와 4개의 상주 오케스트라 의 특별공연이 성대하게 벌어졌다. 더불어, 밤10시에 야간콘서트로 시작해 자정까지 DJ의 밤으로 마감되는 나이트 쉬프트(The Night Shift) , 금요일 점심시간의 무료 재즈 콘서트 등 기존 콘서트 이외 시간의 특별행사와 무료콘서트가 눈에 띄게 많아졌다. 프로그램 면에서도 음악, 문학, 놀이, 무용 등 다양한 장르를 포괄하는 어린이 페스티벌 (이메진 어린이 페스티벌), 인도의 음악, 무용, 음식, 요가까지를 소개하는 인도문화페스티벌, 알케미(Alchemy), 어른들을 위한 각종 게임을 라이브 퍼포먼스 형식으로 시도하는 게임 페스티벌, 하이드앤씩(Hide and Seek) 등 보다 광범위한 문화행사들이 늘어났다. 매년 더욱 다양해진 프로그램을 통해 진정한 열린 문화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는 사우스뱅크센터, 그 기획 전반을 관장하는 총예술감독, 주디 켈리를 만나 ‘사람들에게 영감을 주는 아트센터를 만들겠다 ’는 그녀의 비전을 들어보았다.

주드 켈리

연극연출가이자, 세 아이의 엄마인 주드 켈리는 자그마한 체구에 친근한 미소를 가진 50대 초반의 여성이었다. 바쁜 일정속에 만나본 그녀는 세계적인 아트센터의 예술감독에게 기대하는 위엄이나 근엄성 보다는 진솔하고 화통한 태도로 인사를 나누었다. 자리에 앉자 마자 그녀는 대뜸 ‘너는 누군지 말해달라’고 했다. 순간, 인터뷰를 하러간 것이 아니라 인터뷰를 하게된 기분을 느끼면서 예술경영센터(KAMS)와 theApro 웹사이트에 대해 다시 한 번 설명했다. 성공적인 복합공연예술센터의 실례로서 사우스뱅크의 운영현황에 대해 알고 싶다고 했다. 지난 이십년간 부쩍 수가 늘어난 한국의 많은 복합문화공간들을 위해 성공적인 모델이 될 수 있을 것 같다고. 그녀는 바로, ‘그러면 한국으로 나를 초청하라’고 했다. 대형 아트센터의 운영은 그 지역의 현실과 밀접하게 닿아있으며, 관련자들을 직접 만나 장시간에 걸쳐 이야기해야 제대로 된 논의가 가능하다는 것이었다. 그렇게 대형아트센터는 세계성을 지향하기 이전에 지역사회에 뿌리를 두고 있어야 한다는 그녀의 일장연설이 시작되었다.



1. Jude Kelly _ credit Matt Faber PA



Q. 대형문화예술센터를 운영한다는 것은…
A. 그것은 관객모집에 대한 열정, 그리고 예술에 대한 지원, 즉, 아티스트들이 창작활동을 하는데 대한 지원, 이 두 가지의 콤비네이션이다. 이 두 가지 일을 동시에 해낼 수 있다는 믿음에서 시작해야 한다. 즉 아트센터의 경영은 에코시스템(ecosystem) 이다. 센터와 관객과 아티스트, 그 상호적인 시스템 내에서 ‘스토리’를 생성해야 한다. 또한 지역정부 및 중앙정부와 함께 현재의 이슈에 대해서 미래의 가능성에 대해서 ‘다이얼로그’를 생성해야 한다. 이 모든 것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런의미에서 문화예술공간의 운영에 대해 이야기 하려면 직접 가서 만나보고 이야기해야 한다고 한 것이다.
비전과 아이디어와 열정
많은 경우, 정부 주도하에 아트센터 빌딩을 일단 먼저 짓고 나면, 곧 그 건물 자체만으로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는 것을 정부측에서도 금방 깨닫게 마련이다. 때로는 새 건물을 짓는 것 보다는 기존의 낡은 창고건물을 이용해서 아이디어를 발휘하여 운영하는 것이 훨씬 나을 수 있다. 중요한 것은 비전과 아이디어와 열정이다. 아트센터에 생명감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자신감과 이를 실행할 능력이 필요하다. 자신감과 운영능력은 부분적으로는 트레이닝을 통해 얻을 수 있겠지만 상당부분 ‘할 수 있다’는 정신과 주변 사람들을 설득하는 에너지에서 비롯된다. 직접 사람들을 만나 이야기하면서 시행할 사업들을 고안해내야 한다. 즉, 할 수 있다는 믿음을 공유하는 사람들을 모으고 정부의 지원과 관련기관이나 대학의 조력자들의 힘을 얻어 같이 일해야 한다. 이러한 공조체제는 생각의 변화를 불러오고, 아이디어를 발전시키게 한다. 이렇게 될 때에만 아트센터라는 공간이 진정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모든 예술기관은 원래의 창설이유가 있고, 거기에 운영자의 개인적인 비전이 있다. 어디든 창설 당시의 이상(idealism)과 대단한 아이디어가 있기 마련이다. 사우스뱅크센터의 경우는 원래 콘서트를 위한 실내공연장으로 지어졌지만, 건물을 둘러보면 규모가 대단한 공간이다. 예술에 대한 거대한 야망과 포부을 담고 있는 공간인 것이다. 이는 누구나가 공유할 수 있는 생각이다. 전 인류가 공감하는 아이디어이다. 예를 들면 옛날에는 문맹이 많았지만 이제 누구나 읽고 쓸 수 있다. 문화의 발전사를 돌아보면 참 많이 진보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렇게 문화는 계속 진보하기 때문에, 문화공간을 운영할 때는 먼저 창설될 당시의 이상과 목표중에서 현재에도 유효한, 운영자 입장에서 절대 공감하는 점을 찾아내는 것이 중요하다.
커뮤니티와 함께하는 대형 문화공간
A. 사우스뱅크센터는 대형공간이기 때문에 그 만큼 많은 행사로 채워야 한다. 항시 여러 행사가 일어날 수 있도록 몰고 가야한다. 그러려면 적어도 한 세대, 25년 앞을 내다보고 관객을 키워야 한다. 어린이, 청소년, 노인 모두를 포함할 수 있도록. 그 모두를 위한 공간으로, 그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예술을 하는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 그렇게 할 때 관객은 변한다. 이 곳이 자기들의 공간, 자신들의 행복을 만들어 가는 공간이라고 생각할 때, 그 관계는 완전히 달라진다. 자기들의 공간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더 자주 방문하게 되고, 진정한 애정을 가지고 대하게 된다. 그냥 표사서 공연만 보고 가는 관객이 아니라 주인의식을 가진 관객이 되는 것이다.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학교, 대학, 지역사회와 관계를 만드는 것이 필수이다. 그들이 함께 하는 문화센터로, 직접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 예를 들면, 지역민들이 먼저 음악페스티벌을 하고 싶다고 제안하고, 비엔나에서, 브라질에서 유스오케스트라를 초청해서 공연을 하고 싶다고 하게 만들어야 한다. 실지로 현재 그런식으로 브라질에서 유스오케스트라를 불러올 기획을 하고 있다. 관객들을 새로운 영역으로 몰고 가면서 그들을 변화시켜야 한다. 즉, 관객들을 큐레이팅하는 것이 관건이다.

2 .Royal Festival Hall auditorium 1. Copyright Morley Von Sternberg



Q. 런던을 대표하는 오케스트라들의 홈베이스인 로열페스티벌홀을 중심으로 클래식 콘서트를 비롯하여 재즈, 월드음악, 록뮤직, 팝음악에 이르기까지 너무나 다양한 행사들이 즐비한데, 2005년 취임 후 부터는 특히 청소년 관객에 포커스를 둔 프로그램이 돋보인다.
A. 어린이 및 청소년들이 공연을 보는 것 많이 아니라 참여하게 하려고 노력중이다. 기본적으로 우리 센터는 ‘인류를 축하’하기 위해 존재한다 (사뭇 장대한 표현에 웃음). 그런 의미에서 인류의 미래인 청소년의 참여를 장려하고 그들에게 영감을 제공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최근 지역 청소년 포럼인 ‘SE1 유나이티드 ’를 레지던트 아트스트 그룹으로 선정하여 음악뿐 아니라 무용, 스포츠, 문학 등 다양한 활동을 장려하고 있다. 또한 로열페스티벌홀에서 16명의 신예 아티스트를 모아 노래, 연주, 시낭송 등을 하는 청소년의 밤 ‘Takeover’를 시행하기도 했다. 이외에도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속해 있는 사이먼 볼리바 유스 오케스트라의 콘서트, 토론회, 오픈 리허설, 설치미술 및 라이브 공연 등 일주일간의 이벤트에는 무려 6만명의 관객이 다녀갔다.

Q. 사우스뱅크는 세계대전 직후인 1951년, 영국의 침체된 국가 분위기를 상승하기 위한 방안으로 개최된 대영국페스티벌(The Festival of Britain)의 메인행사장으로 오픈하면서 전국민을 위한 ‘열린’ 예술공간을 지향해 왔다고 알고 있다. 취임 직후, 이러한 ‘열린’ 공간으로서의 초기정책에 특히 중점을 두겠다고 밝힌 것으로 들었는데, 최근 각종 무료행사를 통해 방문객을 증가하려는 노력과 동시해 인도문화 행사 등 영국 이외의 다양한 문화권까지를 포함하려는 시도가 보인다.
A. 보다 열린 공간으로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아트센터가 되기 위해서는 기존의 클래식 공연장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영국에, 특히 런던에는 다른 문화를 가진 다양한 인종들이 살고 있다. 그 중에서도 인도인의 인구는 엄청나다. 오랜 식민지시대 이후, 인도 문화는 이미 영국 문화의 일부로 자리를 잡았다. 현재 인도에 생성되고 있는 활발한 새로운 문화는, 유구한 전통문화를 기반으로 생생한 새로운 경험을 만들어 간다. 그런의미에서 인도문화프로그램으로 디자인한 알케미(Alchemy) 페스티벌은 인도 현지뿐만 아니라 이곳 영국에서 일어나는 새로운 형식을 포함하여 다양한 크로스 오버를 시도하고자 했다. 인도무용, 음식, 문학 전반에 걸친 30여개의 행사가 5일안에 집약되어 있다. 기획하면서 부터 생각했다. 이 페스티벌은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에 불과하고, 시작하고 나면 더 많은 사람들이 새로운 아이디어를 들고 찾아올 것이라고. 그런 의미에서 보수적인 형식성을 지양하면서 보다 색다른 시도들을 해보고 있다. 물론 이렇게 특정 문화권을 겨냥한 프로그램은 위험부담도 있다. 예를 들어 한국을 주제로 이벤트를 하는 것, 코리아 위켄드나 한국의 날 같은 것을 생각해 볼 수 있겠다. 남한을 대표하는 공연물들로 2, 3개의 쇼케이스를 시도할 수 있겠지만, 사실 한국의 다양함을 어떻게 담아내야 할 지 잘 모르겠다. 한국의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전통문화에 대해 잘 모르고, 별로 관심도 없다고 들었다. 세대한의 문화적인 간극이 상당하며 젊은 세대와 국가 자체가 전통을 상실해가고 있다고. 아프리카나 많은 국가에서도 그런 현상이 일반적인 것 같다. 동시에 수많은 세계의 문화의 영향이 흥미롭게 혼재한다고 하는데 그것을 어떻게 표현할 지…

Q. 개인적으로 현재 한국문화의 가장 큰 매력은 ‘옛 것과 새 것 간의 다이내믹’이라고 생각한다. 서양문화를 받아들인 지 불과 100여년 만에 한국의 문화전반은 엄청난 변화를 겪었다. 그리고 한국전쟁이 이후 불과 60년만에 세계에서 가장 가난한 나라 중의 하나에서 세계 14위의 경제대국으로 성장했다 (주드 켈리의 감탄 ‘어메이징’). 그런 빠른 고도의 발전속에 문화 역시 빠르게 변화했다. 대부분 농민의 아들 딸인 한국의 현세대 중 많은 사람들이 아파트에 살면서 IT 비즈니스에 종사하는 현대인으로 살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현대의 한국인은 유럽인들과는 많이 다르다, 예를 들어 아파트생활을 기피하고 정원 있는 집을 선호하는, 전통적인 삶의 방식에 익숙한 유럽의 사람들과는 사뭇 다르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오늘의 한국의 다이나믹을 담은 문화가 아마 유럽인들에게는 매우 흥미로울 수 있을 것 같고, 그런 측면을 보여줄 수 있는 기획이 좋을 것 같다. 어떤 프로그램이 좋을 지 나도 열심히 생각해 보겠다. 물론 인도와 달리 영국내의 한국교민의 숫자가 몇 만명 내외이고, 영국사람들이 한국이라는 국가 자체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잠재관객개발이 큰 과제가 되기는 하겠지만... 한국주간이나 페스티벌 등을 사우스뱅크에 제안하려면 어느 정도 미리 접촉해야 하는가?
A. 한 1년 정도 시간을 두고 연락하면 될 것 같다.

Q. 연간기획서를 보니, 기획자 명단에 본인 이름을 포함해 수 십명의 이름이 알파벳순으로 나열되어 있던데, 기획팀은 어떻게 운영되나.
A. 내가 모든 것을 관장한다. 물론 무용, 음악, 전시, 교육 및 참가 등 각 부문별로 팀장이 있지만, 전체적인 기획은 내가 한다. 그래서 각 분야의 전문가들과 함께 일한다. 헤이우드 갤러리의 경우에도 전시감독(director)이 있지만 내 밑에서 일하고 있다. 전통적으로는 예술장르 별로 구분하여 부서를 만들고, 조심하지 않으면 각 부서들이 각자 기획을 하기가 쉽다. 그래서 부서간에 크로스오버와 교류가 가능하도록 장려하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센터는 다인종문화을 지양한다. 브라질 문화, 알케미 페스티벌을 통한 인도문화, 이메진 어린이 페스티벌을 통한 다양한 국가의 문화 등등. 이러한 다양한 문화를 축제형식으로 기획하면서 동시에 장르간, 부서간의 크로스오버를 활발히 장려하고 있다. 상주단체들인 오케스트라의 경우는 비교적 전통적인 방식으로 콘서트를 하고 있지만 나머지 프로그램은 다양한 방식으로 새로운 접근을 시도한다 아트센터는 아트를 이용하여 세상에 대한 호기심을 자극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냥 좋은 무용공연을 봤다, 좋은 전시를 봤다에 그쳐서는 안된다. 문화센터는 단순히 극장이나 콘서트홀이 아니라 문화를 생성하는 곳이 되어야 한다. 철학이 있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나는 비전을 생성하기 위한 예술감독이라고 할 수 있다. 문화예술센터는 ‘스토리’를 만들고,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한다. 그렇지 못한 곳들이 많이 있다. 사우스뱅크처럼 ‘스토리’를 생성하고 파급하는 수준의 기획을 하는 곳은 별로 없다.

Q. 4단체의 오케스트라가 상주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상주단체와의 재정적인 관계는 어떻게 되는가? 오케스트라들이 각기 아츠카운슬로 부터 별도 지원금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A. 실지로 사무실은 사우스뱅크 내에 없다. 공연을 할 때 대관을 하고 입장수익을 분배하는 형식이다. 물론 일반 대관 형식이 아니라 예술적인 협력관계를 가지고 있다. 레퍼토리에 대한 협의를 한다. 물론 공연장 입장에서 특정 작품은 하지 말라고 요구할 수는 없지만, 기획방향과 내용을 말해주면서 동참을 제안하는 형식이다. 오케스트라의 정책과 방향에 대해서도 협의가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센터와 오케스트라간에 ‘다이얼로그’를 생성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파트너쉽이 만들어진다.

Q. 현재 사우스뱅크센터는 기획과 대관을 겸하고 있는데 기획공연을 증가할 계획이라고 들었다. 기획공연과 대관공연의 비율은?
A. 반반 정도이다. 물론 기획공연이라고 해도 모두 직접 제작하는 것은 아니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만을 제공하는 경우도 많다. 인도축제인 알카미의 경우에도, 모든 프로그램을 제작의뢰하는 것은 아니다. 전체적인 페스티벌의 아이디어를 설정한 다음 해당 아티스트와 단체를 찾아 제작해 보기를 유도한다. 즉, 파트너쉽에 가까운 기획이다. 이런 식의 기획은 관객개발에도 기여한다. 다양한 그룹이 참여하여 작품을 만들면서 더 많은 수의 관련자들이 잠재관객이 될 수 있고, 그들이 불러오는 관객들로 인해 작품의 의도와 작품을 이해하는 폭이 훨씬 커진다. 이렇게 하면 아티스트들도 작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컨텍스트를 이해하는 경험을 할 수 있다. 그냥 와서 공연만 하고 가는 것 보다 훨씬 풍부한 경험이 된다.

Q. 단순한 공연물의 제작자이기 보다는 다양한 아티스트와 예술단체간에 ‘관계’를 생성하는 역할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 같다. 그렇다면 이렇게 다양한 예술단체와 페스티벌간의 파트너쉽을 구축하는데 성공을 불러 온 요인은 무엇이라고 할 수 있는가?
A. 우습게 들릴 지 모르지만, ‘우리가 그걸 원하기’때문이다. 일이 되게 하려면 정말로 그렇게 되길 바래야 한다. 제작자의 입장에서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을 준비가 되어있고, ‘만약에’라는 가정을 하면서 어떻게 그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방향과 방법을 모색한다. 그리고 열정과 정열을 가지고 그것을 실현하는 것이 관건이다.


3. Royal Festival Hall from Hungerford Bridge. Copyright Morley von Sternberg.jpg



Q. 수많은 예술가와 단체들이 사우스뱅크와의 협력을 바라면서 접촉해 올텐데, 그 선정에 있어서의 기준이 있다면?
A. 인지도, 예술적 완성도, 그리고 관객의 규모 등을 먼저 고려할 것이다.


Q. 한국단체들이 당신에 가장 바라는 것은 한국에 직접 방문하여 협력의 기회를 논의하는 것이 될 것인데, 한국에 방문할 생각은 있는가? 예를 들면 서울공연예술마켓이과 같은 행사를 방문할 생각은?
A. 기꺼이 방문하겠다. 한국예술계에 가장 필요한 것은 아마도 자신들의 문화에 대한 확신, 변화를 거듭한 한국문화의 여정이 가진 그 파워를 스스로 믿는 것이 아닌가 싶다. 그것은 곧 문화정체성과도 연결이 된다. 그리고, 한국의 아티스트들이 해외에서 선보일 기회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한국이 문화적으로 흥미로운 공간이 되는 것 자체가 중요하다. 예를 들면 최근에 누구나 다 베를린에 한 번 가봐라, 거기에 대단한 일들이 벌어지고 있다고들 한다. 마찬가지로 국제적인 아티스트들이 한국에 가서 한국의 배우들과 작업을 하고, 각종 교류와 크로스오버가 일어나게 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물론 이 점은 한국분들도 너무나 잘 알고 계실터이고, 실지로 많은 국제협력이 일어나고 있다고 들었다.

그렇게 주디 켈리의 한국방문을 약속받고 한국아티스트들과의 협력을 궁리하면서 인터뷰를 마감했다. 세계적인 아트센터가 되기 위해서는 지역에서 먼저 사랑받는 아트센터가 되어야 하고, 세계적인 아트센터로 아티스트를 내보내는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그 국가가 먼저 세계적인 관심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것을 그녀의 말뜻을 새기게 되었다. 어떻게 대한민국을 흥미로운 문화다이얼로그의 중심으로 만들 수 있을까? 예를 들면 한국전통음악에의 해외보급은 어떻게 하나? 국악방송에서 올해 유럽투어를 기획하는데 사우스뱅크센터의 소형콘서트홀인 퍼셀룸의 대관도 쉽지 않던데, 1년 전에 연락했었는데 이미 대관이 다 찼던데. 사무실을 나서다 말고, 주디 켈리를 향해 사담처럼 이말을 전했다. 그녀는 말이 끝나기도 전에 음악팀장 마샬 마커스에게 전화를 했고, 5분도 안되어 그가 사무실에 나타났다. 파리와 네덜란드의 올 가을 투어가 확정된 국악방송의 ‘21세기 한국음악 프로젝트’에 대한 간단한 소개를 하자 그는 매우 흥미있다면서 혹시 빈 날짜가 있는 지 다시 한 번 알아봐 주겠다고 선뜻 약속했다. 올해가 안되면 내년에라도… 그의 말이 진정한 관심이었는지 친절에서 비롯한 빈말이었는지 시간이 지나야 알겠지만, ‘열린’문화센터로서의 주드 켈리의 열정과 신념이 같이 일하는 기획자들의 태도에서도 드러난다는 사실을 깨달으며 사우스뱅크의 문을 나섰다.

  1. 사우스뱅크센터의 상주단체로는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 런던 신포니에타, 계몽시대 오케스트라(Orchestra of the Age of Enlightenment)가 있다.
  2. 주드 켈리는 2008/2009 사우스뱅크센터 연간보고서 서문을 통해 ‘세계최고의 영감을 주는 아트센터’의 건립을 목표로 한다고 밝힌바 있다.
  3. 에코시스템(ecosystem)은 환경에 물리적인 요소와 생물학적인 요소가 공존하는 상태를 일컫는다. 자연환경을 예로 들면 바위, 흙과 같은 물리적인 요소들은 식물, 동물과 같은 생물체와 상호적으로 기능하면서 존재한다. 즉, 문화예술공간이라는 물리적인 공간은 관객과 예술가와 상호관계를 이루며 공존한다는 것이다.
  4. ‘SE1’은 런던 동남쪽 지역의 우편번호이다(South East 1)
 
  • 기고자

  • 정명주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korea Arts management service
center stage korea
journey to korean music
kams connection
pams
spaf
kopis
Share